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기술금융은 기업 대출 선진화... 할 거면 제대로"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기술금융은 기업 대출 선진화... 할 거면 제대로"

입력
2014.12.26 04:40
0 0

"인맥·회계에만 의존하던 관행 기본 토대부터 바꾸는 작업

은행이 옥석 가리는 능력 키워야" 심사 인력이 귀한 몸… 확충 계획

김영규 기업은행 부행장은 18일 "기업 대출시 기술을 주요 기준으로 삼는 건 정권과 상관없이 이뤄져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주형 인턴기자(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
김영규 기업은행 부행장은 18일 "기업 대출시 기술을 주요 기준으로 삼는 건 정권과 상관없이 이뤄져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주형 인턴기자(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

“기술만 있다고 다 대출해 주면 대한민국에 죽을 기업은 하나도 없을 겁니다. 기술에도 상ㆍ하가 있는 거죠. 그걸 은행들이 잘 가려야 합니다.”

요즘 금융당국의 최대 관심사는 기술금융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연말 건배사로 “죽기살기”(죽어도 기술금융, 살아도 기술금융)를 외칠 정도다. 하지만 기술금융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녹색금융처럼 또 하나의 캠페인 정책이 되지 않을지, 밀어내기 대출로 대규모 부실을 맞지는 않을지 담당자들조차 근심이 크다. 중소기업 전문이자, 정부소유 은행으로 사실상 기술금융의 선봉장 역할을 맡은 기업은행의 기술금융 담당 김영규 부행장을 만났다. 그는 지난 18일 인터뷰에서 “기술금융은 그간 인맥이나 회계자료에만 의존했던 은행 기업대출의 기본 토대를 바꾸는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먼저 정부 정책에 떠밀려 억지로 하는 게 아닌지부터 따져 물었다. 김 부행장은 “이왕 할거면 정부가 초기에 강력하게 추진하는 게 맞다”는 답으로, 정부의 압박을 굳이 부인하지는 않았다. “일부 은행은 (정부 압박을 의식해) 기존 대출을 기술금융 대출로 포장하는 경우도 꽤 있다”고도 귀띔했다.

하지만 그는 “할 거면 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 스스로의 대출심사 능력을 이 기회에 키우지 못하면 나중엔 하고 싶어도 흐지부지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술금융은 기존 신용평가제도에 더해 기술평가라는 새 심사기준을 시스템화하는 작업이고, 향후 정권이 바뀌어도 은행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능력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올 7월 시작된 은행권 기술금융 대출 규모는 5개월 만에 6조6,634억원(이달 12일 현재)으로 급증했다. 기업은행은 그 중 1조4,211억원을 차지하지만 “100%가 기술금융 제도로 일어난 대출은 아니다”고 그는 말했다. 그간 못 받던 대출을 새 제도 덕에 받게 된 기업은 전체의 60% 수준. “다른 은행보다는 훨씬 많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대부분 3억~5억원 정도로 은행 입장에서 대단히 많은 액수도 아니다. 다만 “사업을 좌지우지할 금액은 아니어도 은행에서 인정받았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기업에게 큰 용기가 된다”는 게 그의 평가다.

기술금융은 은행보다 벤처투자업계가 할 일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그는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대박을 터뜨릴 신기술을 가진 업체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렇지 않은 기업도 수익을 내고 성장할 전망이 보이면 지원해 주는 게 맞다”고 했다.

말 못 할 에피소드도 많았다. ‘기술만 있으면 대출해 준다더니 안 해준다’며 큰소리를 치거나 한도를 넘는 대출을 요구하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고 했다. “고객들조차 ‘어차피 정부 홍보용인데, 형식적으로 보는 거 아니냐’고 나올 때 가장 난감하다”고 그는 전했다.

기술 심사인력도 귀한 몸이 됐다. 10명의 전문인력을 확보한 기업은행은 조만간 5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 하지만 요즘은 은행마다 수요가 커져 언제 빼앗길지 모른다고 그는 경계심을 드러냈다.

김 부행장은 “공기업ㆍ대기업들이 은행권에 예치 중인 700조원대 자금의 일부라도 기술금융 재원으로 활용하면 중소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범정부 차원의 협조를 설득 중”이라고 말했다.

김용식기자 jawohl@hk.co.kr

김진주기자 pearlkim7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