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위원회 인원 구성 발표
계획보다 규모 절반으로 줄고 평가원과 가까운 교수 위주 구성
교육부가 2년 연속 출제 오류가 발생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의 개선 방안을 추진할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러나 애초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밝혔던 것보다 위원회의 규모가 축소된데다 위원들 상당수가 교육당국에 우호적인 것으로 평가 받는 등 제도 개선이 제대로 이뤄지기 어렵다는 비판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김신영 한국외대 교수(교육학)를 위원장으로 하는 수능 개선위원회를 구성했다고 3일 밝혔다. 김 교수는 수능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원 출신으로 2010년부터 2년간 한국교육평가학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지난 10월 수능 영어의 절대평가 도입과 관련한 공청회에서 “절대평가가 학생 간 경쟁을 완화하고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사교육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었다. 김 위원장은 “다른 위원 및 교육부와 조율해가며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위원에는 김경성(서울교대 교수) 한국교육평가학회장, 김대현(부산대 교수) 한국교육과정학회장, 김진완(서울대 교수) 한국영어교육학회장, 김영수 서강대 입학처장, 최창완(가톨릭대 교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지원실장, 김종우(양재고 교사)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장 등 6명이 위촉됐다. 이 가운데 김 위원장을 비롯해 김경성 교수, 김진완 교수 등 3명은 수능 출제에 참여한 바 있다.
수능 개선 위원회는 내년 3월까지 수능 문항출제 개선과 난이도 안정화 방안을 마련, 2016학년도 수능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내년 6월 모의평가부터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입전형과 연계한 중장기 수능체제 개편 등 향후 수능 운영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문제는 위원회 구성이 지난달 24일 황 장관이 밝힌 내용과 동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황 장관은 당시 “외부 전문가를 위원장으로 하고, 위원회는 법조인, 언론인, 학부모 등 외부인사를 대거 참여시켜 10~15인으로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위원회 규모는 절반으로 줄었고, 그나마도 평가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회 교수들이 대부분이다. 학교 현장을 잘 아는 교사는 단 1명뿐이다. 법조인, 언론인, 학부모 등은 출제 개선안이 나온 뒤 구성되는 자문위원회에 참여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논평을 통해 “수능 오류를 예방하는 근본적 개선안을 기대하기 어려운 반쪽짜리 위원회”라며 “교육부, 평가원과 긴밀한 카르텔이 형성돼 있는 교육학회들은 수능 오류의 당사자들이 대부분이고 현장교사는 1명으로 구색만 맞췄다”고 비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위원회 구성이 애초 약속과 배치되는데다 현장 교사는 1명에 불과한 반면 대학교수를 6명이나 선정한 것은 교육부의 혁신의지를 의심케 한다”며 “현장교원이 다수 참여하는 방향으로 전면 재구성하라”고 촉구했다.
이대혁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