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시계 태엽을 감을 때 태엽은 한쪽 방향으로만 감긴다. 반대 방향으로는 감을 수 없는데 여기에는 ‘래칫(Ratchet)’이라는 톱니바퀴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만 나아갈 뿐 후퇴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2018 평창올림픽 준비도 마찬가지다. 삼고초려 끝에 성공한 평창올림픽 유치를 향한 방아쇠는 3년전에 이미 당겨졌다.
‘평창’의 성공을 위해선 각 톱니들이 제때 잘 맞춰 돌아가야만 한다. 하지만 유치에 성공한 2011년부터 3년이 넘는 시간을 사실상‘허송세월’로 보냈다. 자연스레 인천 아시안게임이 부실 운영으로 ‘깊은 상처’를 남긴 만큼 ‘평창은 달라야 한다’는 여론의 질타로 이어졌다.
조양호 평창올림픽 조직위원장은 2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평창 올림픽 성공 개최는 국가적 대업”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오해와 갈등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모든 것이 결정된 만큼 정부와 강원도, 그리고 조직위가 ‘삼위일체’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조직위는 평창군에 개ㆍ폐회식장을 설치하되 대회 이후 4만~5만석의 규모를 1만5,000석으로 줄이고, 재설계 논란으로 착공이 늦어진 스피드 스케이팅장 토목공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조 위원장의 말처럼 정부, 강원도, 조직위가 그 동안의 갈등과 불신을 접고 성공 개최에만 매진해도 모자랄 시간이다.
지난 10년간 동계올림픽 유치를 목표로 갖은 고생을 다한 강원도민과 평창군민들의 노력은 감동적이었다. 하지만 국민의 혈세가 대거 투입되는 만큼 평창올림픽을 ‘강원도의 올림픽’이 아닌 ‘대한민국의 올림픽’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사후활용 목적이 뚜렷하지 않은 ‘묻지마’인프라 건설은 결국 지역 재정 부담을 넘어서 국가의 빚이 된다.
평창 개ㆍ폐회식을 위해 2,000억원에 가까운 돈을 쏟아 붓는 것에 대해 재검토해야 하는 이유다. 올림픽 이후의 유지관리 비용도 까마득하다. 4,900억원이 투입된 인천아시안게임 주경기장은 당장 연간 100억원의 적자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짧은 잔치가 끝나자 빚더미 고민이 시작된 셈이다. 그나마 평창은 개ㆍ폐회식장을 대폭 축소키로 합의해 평가할 만하다. 실제 평창 횡계리 인구는 4,000여명에 불과하다. 평창군 재정자립도 15%를 고려할 때 사후 활용방안이 없다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강원도는 매년 1,000만명의 관광객이 찾는다고 주장하지만 설득력은 없어 보인다.
3년 3개월. 평창 올림픽까지 남은 시간이다. 조직위는 평창 올림픽 시계의 래칫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 7월 새로 취임한 조직위원장 조양호호(號)의 발목을 더 이상 붙잡아서는 평창의 미래를 기대하기 힘들 것 같다.
이현주 스포츠부 기자 memor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