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500곳 대상 조사
연내 타결 목표로 협상 중인 한ㆍ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국내 중소기업 중 고무와 플라스틱, 화학제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들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속가공 등 ‘뿌리산업’은 타격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업종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 업종에서는 55.5%가 “유리하다”고 답했다.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48.1%) ▦목재 및 나무제품’(42.9%) ▦가죽가방과 신발(33.3%) ▦식료품(33.3%)을 생산ㆍ유통하는 중소기업들도 유리하다는 응답비중이 높았다. ‘불리하다’는 답변은 ▦금속가공제품(38.1%) ▦1차 금속’(29.4%) ▦자동차 및 트레일러(27.3%) 업종에서 많이 나왔다.
이 같은 예상은 관세의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고무와 플라스틱 제품 수입관세율은 40~45%,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은 20~100%다. 목재 및 나무제품, 가죽가방과 신발도 많게는 100%까지 관세가 붙는다. 식료품 역시 관세가 90%라 중국 시장을 뚫기가 녹록하지 않지만 해당 중소기업들은 FTA로 고관세가 사라지면 가격경쟁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반면 금속가공 등 뿌리산업과 1차 금속, 부품 등은 우리나라 수입관세율이 0~8% 수준이라 값싼 중국 제품이 국내시장을 잠식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업종의 중소기업 63개는 한ㆍ중 FTA가 경영에 불리한 이유로 ▦중국제품 수입증가로 시장점유율 하락(84.1%) ▦가격경쟁으로 인한 제품 가격 인하(84.1%)를 주로 꼽았다.
중소기업들은 FTA 이후 국내시장에서 같은 종류의 중국산 제품과 경쟁할 경우 품질(응답비율 77.4%), 디자인(67.4%), 브랜드파워(66.3%)는 우위에 있다고 자신했다. 문제는 가격이다. “가격경쟁력이 비슷하다”는 응답은 17.4%에 그쳤고, 72.1%는 “낮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장비, 기타기계 정도만 가격경쟁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 및 나무제품은 중국산과 가격이 비슷하고, 나머지 대부분 업종들은 가격경쟁력이 열세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한ㆍ중 FTA의 부정적 영향에 대비하기 위해 품질 및 기술력 제고, 대체시장 개척,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인하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창훈기자 ch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