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올해 노벨평화상 인권운동 어떤 업적?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올해 노벨평화상 인권운동 어떤 업적?

입력
2014.10.10 19:10
0 0

올해 노벨평화상은 여성과 어린이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애써온 인권운동가인 파키스탄의 말랄라 유사프자이(17)와 인도의 카일라슈 사티야티(60)에게 돌아갔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10일 기자회견을 갖고 두 사람이 공히 “어린이와 청소년의 억압에 대항해 싸웠고 모든 어린이들의 교육 받을 권리를 옹호해왔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말랄라는 10대 초반에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세력인 탈레반 치하에서 이들의 학교 파괴를 고발하다 총격까지 당해 죽을 고비를 넘겼지만 포기하지 않고 남녀차별 철폐와 교육운동을 펼쳐온 것으로 유명하다. 평화상은 물론 역대 전체 노벨상 수상자 중 최연소다. 사티야티는 사실상 노예상태로 노동에 내몰리는 어린이들을 구해 이들의 재활ㆍ교육에 애써온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노벨위원회는 두 수상자에 대해 “힌두ㆍ이슬람, 인도ㆍ파키스탄으로 다르지만 이들이 교육을 위해 또 종교적 극단주의에 맞서 함께 싸웠다는 점을 중시했다”고 밝혔다.

■최연소 수상 말랄라 유사프자이

11세때 여학생 등교 금지 세계 알려

2012년 탈레반 총에 맞고 기사회생

파키스탄 출신 10대 인권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 연합뉴스
파키스탄 출신 10대 인권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 연합뉴스

지난해 7월 12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 이날 16세 생일을 맞은 한 소녀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소개로 단상에 올라 전세계 지도자를 향해 어린이에 대한 무상교육을 호소하기 시작했다. 이 소녀는 “우리가 책과 펜을 들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그 책과 펜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한 명의 어린이가, 한 사람의 교사가, 한 권의 책이, 한 자루의 펜이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고 힘주어 말했다. 201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된 파키스탄 출신 10대 인권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다.

1997년 7월 파키스탄에서 태어난 말랄라는 빈국과 분쟁국 어린이의 보편적 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해 왔다. 말랄라가 어린이들의 교육 받을 권리를 강조해 온 것은 자신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말랄라가 살던 스와트밸리는 2008년 이슬람 근본주의세력 탈레반에 점령됐고 탈레반은 이듬해 말랄라를 포함한 여학생들의 등교를 금지시켰다. 말랄라는 탈레반의 억압으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자 이런 사실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전세계에 알렸다. 말랄라가 불과 11세 때 일이다.

탈레반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을 포함한 10대와 어린이들의 배울 권리를 전 세계에 호소해 오던 말랄라는 2012년 10월 하교하던 통학버스에서 탈레반의 총에 머리와 목을 맞아 중태에 빠졌다. 현지에서 수술을 받았지만 위독한 상태여서 영국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았다. 이 소식은 외신을 통해 전세계에 알려졌고 많은 사람들의 바람 덕분인지 기적같이 살아났다. 하지만 두개골 복원을 위해 티타늄을 삽입했고, 귀에는 청력 회복을 위해 인공 달팽이관을 넣어야 했다.

이 사건 이후 여성과 어린이 교육의 중요성을 외치는 말랄라의 활동을 전세계인들이 주목하기 시작했다. 기초교육 운동을 펴온 유네스코도 지난해 12월 파키스탄 정부와 함께 ‘말랄라를 위해 일어서자’라는 행사를 열어 여성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한 ‘말랄라 기금’을 발족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해 말랄라가 유엔본부에서 연설한 날을 ‘말랄라의 날’로 지정하고 유엔을 중심으로 모두가 교육 받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보편적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운 공로로 말랄라는 지난해 국제어린이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말랄라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 세계에서 5,700만명의 어린이들이 초등학교를 다니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 1억2,000만명은 기초적인 문장 해독 능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이다. 이들 중 대부분은 말랄라와 같이 분쟁에 휘말린 국가에 살고 있다. 이들 국가는 교육보다 구호가 우선이어서 보편적 교육이 지구촌으로 확산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배성재기자 passion@hk.co.kr

■노벨평화상 인도 카일라슈 사티야티

아동 노동으로 만든 제품 불매운동

비정부기구 조직해 수십년간 투쟁

인도의 아동인권 운동가인 카일라슈 사티야티. 연합뉴스
인도의 아동인권 운동가인 카일라슈 사티야티. 연합뉴스

“아동의 권리를 위한 우리의 싸움과 지금도 수백만의 아이들이 겪고 있는 곤경을 (노벨위원회가)알아 줘 기쁘다.”

인도의 아동인권 운동가인 카일라슈 사티야티(60)는 노벨평화상 공동수상자인 말랄라 유사프자이에 비해서는 국제사회에서 다소 생소한 인물이다. 하지만 아동인권계에서 그는 평화적인 방식을 통해 8만명의 아동을 불법 노동으로부터 해방시킨 상징적 인물이다. 그가 벌인 운동으로 부모의 빚을 갚기 위해 채석장, 성냥 공장, 카페트 공장 등에서 일하던 수많은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찾게 됐다. 이런 공로를 인정 받아 1995년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과 2002년 미국 미시간대의 월런버그 메달을 수상했고, 2006년 한 차례 이미 유력한 노벨평화상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인도의 영자 일간지 힌두스탄타임스는 10일 노벨평화상으로 사티야티가 지명되자 “그의 이름을 오늘 처음 들어본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는 뉴델리를 기반으로 비정부기구(NGO)를 조직해 수십 년 간 아동노동 착취에 반대해 온 아동인권 운동의 선구자”라고 전했다.

사티야티는 1980년대부터 아동권리 운동에 본격 투신했다. 1983년 아동인권 NGO ‘바치판 바차오 안돌란’(BBAㆍ아이들을 구하자)을 조직해 아동노동으로 만들어진 제품의 불매운동을 벌였다. 불법 아동노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러그마크(Rugmark)도 만들었다. 아동노동을 착취하지 않고 만들어진 카페트에 ‘러그마크’로 인증하는 방식이다.

1998년 103개국, 1만개 단체가 참여하는 ‘아동 노동에 반대하는 세계인 행진’(GMACL)을 조직해 당시 국제노동기구(ILO) 회의가 열린 스위스 제네바에서 각국 정부에 불법적이고 비윤리적인 아동노동 관행을 막아 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결국 이듬해 ILO로부터 아동을 위험한 직업과 착취로부터 보호한다는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사티야티는 동시에 아이들이 있어야 할 자리는 공장이 아닌 학교라고 역설해왔다. 그는 BBA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연계해 아이들이 최소한의 교육권을 보장 받을 수 있는 마을 환경을 만드는 데 힘써 왔다. 인도의 11개 주 356개 마을에서 BBA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역시 이날 수상자 발표 성명에서 “지금도 전세계에서 노동에 내몰리는 아동이 1억6,800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송옥진기자 clic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