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안 교통 재난 맞춤안전 등 4대분야 정보 지도로 보여줘
웹사이트나 앱으로 이용 가능
전국 15개 지역서 우선 실시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우리 동네 안전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가 30일 개시됐다. 생활안전지도는 치안, 교통, 재난, 맞춤안전 등 4대 안전분야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2, 3차원 지도형태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가령 치안분야 생활안전지도는 강도, 성폭력, 절도, 폭력 등 4대 범죄 발생빈도에 따라 등급을 나눠 범죄 빈도가 높은 지역은 진하게, 낮은 지역은 흰색으로 표시된다. 또 교통분야는 교통사고 발생빈도를, 재난안전지도는 산사태와 화재 등 발생빈도 및 발생가능성을 동일한 방식으로 구분한다. 여기에 어린이와 여성, 노인 등 안전취약계층에게 유용한 맞춤안전지도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는 웹사이트(www.safemap.go.kr)를 방문하거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생활안전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내려 받아 이용할 수 있다.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은 다음 달 중 제공된다.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는 전국 15개 지역에서 우선 실시된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서울 송파ㆍ성북구 ▦경기 안양ㆍ시흥시 ▦인천 남구다. 나머지 지역은 ▦부산 부산진구 ▦광주 광산구 ▦대전 서구 ▦충북 충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구미시 ▦제주 제주시 ▦대구 달성군 ▦전남 무안군 ▦경남 거창군이다.
안전행정부는 15개 시범지역 성과를 분석해 연말까지 100개 지역, 내년 말 전체 자치단체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공개 분야도 현재 4개에서 내년에는 시설안전과 사고안전, 후년에는 산업안전과 보건식품안전을 추가해 총 8개 분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안전신고통합포털로 접수한 신고를 생활안전지도에 반영, 쌍방향 지도서비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그러나 이번 생활안전지도 서비스에 침수예상도 및 침수흔적도가 빠지고 범죄정보는 도로, 보행로, 공원 등 비주거 지역만 표시돼 기획 당시보다는 완성도가 낮아졌다는 평가다. 특히 범죄정보 등은 지역 간 비교를 할 수 없도록 특정 지역(시군구) 안에서 상대적인 위험도만을 시각화했다. 이른바 위험지역이 일반에 공개돼 이미지 손상을 입는 ‘낙인효과’나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민 불만 등의 부작용을 감안한 결과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생활안전지도 공개에 앞서 국제세미나, 지역주민 설명회와 지자체 설명회 등 정책설명회 6차례 실시해 전문가와 지역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생활안전지도 개발에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경찰청, 소방방재청, 산림청, 도로교통공단 등이 참여했으며 서버 비용을 포함해 약 120억 원이 소요됐다.
이재율 안행부 안전관리본부장은 “생활안전지도는 등하굣길 어린이나 밤길 귀가 여성 등 취약계층의 안전뿐만 아니라 일반 주민들도 재난,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무기자 abcdef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