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에볼라 비상사태' 선언에 정부도 대책 회의
여행 경보 수위 격상, 대상국 확대 등 논의될 듯
정부가 서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퍼지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막고자 8일 오후 두 번째 공식 대책회의를 열고 후속 대응 방안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보건복지부·외교부·법무부·질병관리본부 실무자들은 이날 오후 5시 정부서울청사에 모여 지금까지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위원회의 '에볼라 비상사태' 선언과 관련, 국내 조처를 논의하는 동시에 부처 간 협조사항을 정리하고 있다.
WHO 긴급위원회는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이틀간 에볼라 바이러스 대책을 논의하고 이날 오후 4시(한국 시각; 현지 시각 오전 8시)께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여명의 감염·면역 전문가들은 만장일치로 현 상황을 '세계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로 규정했고, 에볼라 확산을 막기 위한 '특별한 대응'(extraordinary response)을 촉구했다. WHO는 "바이러스의 위험성, 지역사회 및 의료시설 내 확산 양상, 에볼라 발생 지역의 부실한 보건 체계 탓에 국제적 확산 우려가 특별히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도 현재 '철수 권고' 수준인 에볼라 발생 지역·국가에 대한 제한 조처를 '여행 금지'로까지 격상할지, 기니·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 3개국 외 다른 서아프리카국가로까지 여행경보를 확대할지 주목된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장옥주 복지부 차관은 모두 발언에서 "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철저한 검역과 예방수칙을 실천하고 있다"며 "에볼라 출혈열이 국내 유입되는 일이 없도록 각 부처가 힘을 합쳐 대책을 마련하고 실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건당국은 최근 에볼라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고자 공항·항만 등의 여행객 검역을 강화하고, 아프리카 지역에서 출발한 입국자들의 감염 여부와 건강 상태를 추적 관찰해왔다.
그러나 에볼라 출혈열 발생국인 라이베리아에서 한 달가량 머물다 최근 귀국한 한국인이 설사 증세로 병원을 찾은 사실조차 정부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7일 확인되면서, 에볼라 대책이 허술하다는 지적과 함께 국민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아프리카 직항편에 대해 일반 검역대 조사뿐 아니라 비행기 게이트 검역을 추가하고, 지금부터 21일(에볼라 최대 잠복기) 이전까지 에볼라가 유행하는 서아프리카 3개국(기니·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을 드나든 사람들의 정보를 법무부 출입국관리소와 외교부를 통해 파악, 추적하는 등 대책 보완에 나선 바 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