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원 규모 융합연구단 나온다
출연연 중심 10월까지 최대 4개 선정…“과학계도 시대 변화에 부응해야”
연구비 100억원 규모의 대형 융합과학연구단이 올해부터 만들어진다.
연구단의 주요 구성원은 미래창조과학부 소속 24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자들. 융합연구 주제가 결정되면 해당 분야의 출연연 과학자들이 모여 새로운 연구단을 구성해 조직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완료되면 다시 원래의 소속 출연연으로 복귀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구성된 연구단은 개별 출연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성과는 출연연과 공유하게 된다. 연구단에서 활동하는 동안에도 출연연 직원으로서의 과학자들의 신분은 유지된다.
옛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를 통합해 최근 새롭게 출범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서로 다른 출연연 과학자들이 협력해 연구비 20억원 정도 규모로 공공이나 실용화 목적의 공동 융합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은 있었지만, 이처럼 여러 출연연이 참여하는 대규모 독립적인 연구단이 만들어지는 건 처음이다. 기관별로 나뉘어 있어 단순 협력에 머무를 수밖에 없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융합연구 체계를 만들겠다는 게 국과연의 야심찬 계획. 연구비 액수만 보면 소속 연구단의 인원과 성격 등에 따라 최대 약 120억원까지 지원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초과학연구원(IBS)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다.
국과연은 “올해 10월까지 2~4개의 융합연구단을 우선 선정하고, 향후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20개 안팎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융합연구단의 연구 주제는 ▦국가사회문제 해결 ▦미래선도기술 개발 ▦시장 수요에 대응 ▦기업의 적극 참여 등이 가능한 것 위주로 기획될 예정이다.
국과연은 또 이날 이사회를 통해 출연연의 기존 임무를 ▦기초ㆍ미래선도형 ▦공공ㆍ인프라형 ▦산업화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눠 투자 비중을 맞춤형으로 조절하고 연구성과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특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비롯해 지금까지 기초연구 분야에 중점을 뒀던 기관들은 앞으로 산업화 연구를 강화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포함해 산업 쪽에 특화해 온 기관들은 기초연구나 미래선도형 연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임무를 재정립했다.
아울러 한국화학연구원이나 한국식품연구원처럼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은 화학물질 사고예방 및 대응연구를 신설하고 식품안전기술 연구를 늘리는 등 공공성을 확충하기로 했다. 지난해까지 기관 평균치가 1에 머물렀던 ‘중소기업 협력도’를 2017년까지 3.28까지 높이겠다는 계획도 국과연은 함께 내놨다. 중소기업 협력도는 전담 인력 확보 정도나 기술이전 건수, 사업비 비중 등 출연연이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를 반영하는 요소들을 고려해 산출한 수치다.
이상천 국과연 이사장은 “1970~90년대 선진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출연연은 이제 시대적 변화 요구에 부응해야 할 시점”이라며 “국과연을 중심으로 한 혁신을 통해 앞으로 출연연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