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어제 자진사퇴 했다.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총리후보자로 지명된 뒤 친일사관 등과 관련해 극심한 논란에 휩싸인 지 14일 만이다. 문 후보자는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 시점에서 사퇴하는 게 박 대통령을 도와주는 주는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정통 언론인 출신 첫 총리후보자로 관심을 모았던 그가 국회청문회 자리에 앉아보지도 못하고 중도하차 할 수밖에 없게 된 상황이 안타깝다. 하지만 이쯤에서 소모적 논란에 종지부를 찍은 것은 다행한 일이다.
박근혜 정부 1년5개월 만에 총리 후보자 낙마는 조각 당시의 김용준 전 헌재소장을 포함해 세 번째다. 특히 문 후보자의 이번 낙마는 세월호 참사에 책임을 지고 정홍원 총리가 사의를 표명한 뒤 후임으로 지명된 안대희 전 대법관에 연이은 자진사퇴여서 박 대통령에게 주는 타격이 막대하다. 세월호 참사와 6ㆍ4지방선거를 계기로 2기 내각 진용을 새롭게 갖춰 국가 대개조 작업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런 결과를 초래한 일련의 인사실패에 대해 책임 소재를 가려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마땅하다.
차제에 청와대 인사 검증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뜯어고치는 혁신이 필요하다. 총리와 장관과 같은 고위 공직 후보자에 대해서는 민정수석실이 중심이 돼 200여 항목에 달하는 사전 질문서에 입각해 검증을 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번번히 인사실패를 막지 못했던 것으로 봐서 실효성이 없음이 명백해졌다. 더욱 치밀하고 실효성 있는 검증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코드가 맞는 좁은 인재 풀에서만 공직후보자를 찾으려는 폐쇄성이 보다 근본적인 이유인지도 모른다. 사퇴한 문 후보자도 그렇지만 어제 박 대통령이 국회에 인사청문을 요청한 8명의 공직후보자들의 면면을 보면 폭넓게 인재를 구한 결과인지가 매우 의심스럽다. 두 달이 넘어가는 총리 부재의 국정공백사태가 걱정스럽기는 하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한이 있더라도 널리 인재를 구해 경륜과 도덕성은 물론 소통과 통합 마인드를 갖춘 총리후보자를 국민 앞에 내놓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