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활용 방안 부실하자 '일회용'으로 재설계키로
국제대회를 치른 뒤 사후활용 방안이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평창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이 결국 정부로부터 철퇴를 맞았다.
강원도와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는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이 대회가 끝난 후 철거하는 방향으로 다시 설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16일 밝혔다. 강원도는 1,311억 원이 투입되는 이 경기장을 올림픽 이후 워터파크와 컨벤션 센터로 활용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민자유치 방안이 불확실한 데다, 이미 적정수요를 넘어선 워터파크의 경제성 논란이 불거졌다. 더구나 ‘적자가 불 보듯 뻔하다’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강원도와 강릉시가 서로 운영을 떠넘기는 모습을 보이자 정부가 “아예 처음부터 일회용으로 경기장을 지으라”고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2008년 베이징(北京)올림픽 조직위가 우커송(五?松) 야구장 메인필드를 대회 직후 철거하는 등 저변이 얕은 종목 경기장 처리방식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와 문화체육관광부는 16일 강릉 현지에서 실사를 진행하고, 18일까지 설계방식 등에 대한 결론을 낼 계획이다.
문제는 설계기간이 1년 가까이 걸리는 만큼 2017년 프레대회 이전까지 완공이 가능할 것인지 여부다. 강원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경기연맹(IFS)과의 협의를 포함한 재설계의 모든 과정을 문화체육관광부가 책임지고 도는 시공만 하겠다는 입장을 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다. 경기장 건설 지연에 따른 모든 책임은 중앙정부에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한 셈이다.
강원도 동계올림픽 추진본부의 한 관계자는 “설계다 다시 진행될 경우 2017년 테스트이벤트까지 공사가 끝날 지 의문”이라며 “문체부가 뒤늦게 경기장 재설계를 요구한 만큼 당사자가 부수적으로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은성기자 esp7@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