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들이 지난 7일부터 광화문 광장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30도를 넘나드는 땡볕에 방재복을 입고 시위에 나선 그들의 손에는 ‘안전도 빈부격차, 평등한 소방서비스’라는 피켓이 들려 있다. 이들의 주장은 현재 지방직인 소방관을 국가직으로 전환해 달라는 것이다. 지방직이나 국가직이나 공무원으로서의 신분보장, 기본급여에서 차이가 없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의 시위가 새삼스럽게 여겨질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주장을 듣자면 5만~10만원 하는 안전장갑을 직접 구입한다고 하고, 20년 된 소방차량이 긴급 상황에서 갑자기 멈춰서는 일도 있다고 한다. 공무를 위해 필요한 장비를 개인적으로 구입하는 일은 믿기 어렵지만 실상이라고 한다. 6개월이면 너덜너덜해지는 안전장갑이 3년째 지급되지 않아 아마존에서 1년에 두 개씩 영국제 장갑을 사비로 산다는 한 소방관의 글이 지난달 인터넷에서 파장을 일으킨 적도 있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42종에 달하는 소방자동차의 노후화율이 5대 중 1대 꼴이라니 이들 소방관의 주장이 과장됐다고 보기 어렵다.
문제는 이런 일이 지방의 재정격차에서 비롯된 현상이라는 것이다. 가난한 지자체는 지방예산 뒷받침이 되지 않아 소방관 처우나 장비,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서울처럼 재정이 나은 지자체는 사정이 낫다는 것이다. 재정자립도가 10%대 수준인 지자체는 소방안전에 관심을 둘 여유가 없다는 얘기다. 대형사고가 인구가 밀집한 서울보다 지방에서 빈번한 사정도 관심과 감시ㆍ감독의 정도뿐만 아니라 이러한 안전의식의 차이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4월29일 국무회의에서 처음으로 세월호 참사에 대해 사과하면서 “국민안전마스터플랜 수립 과정에서 국민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면 무엇이든 제한 없이 검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정부는 안전과 관련한 이러한 차별의 존재 여부와 관련해 3만9,000여명에 달하는 지방 소방관들의 처우 격차와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안전의 최전선에 선 소방관들이 전례 없이 1인 시위에 나선 까닭에 귀 기울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