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최문순 재선 성공 불구
기초는 새정치 승리 1곳뿐
표밭은 보수로 분류되지만
광역은 인물 경쟁력이 좌우
기초는 후보별 차별화 안 돼
사실상 정당이 상수 역할
6ㆍ4 지방선거에서 접전 지역 중심으로 “광역 따로, 기초 따로” 투표하는 디커플링(탈 동조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에 표를 몰아주는 패키지 투표에서 벗어나 인물의 비교우위를 철저히 따지는 ‘크로스보팅’(cross voting, 원래는 당론에 따르지 않는 자유투표를 의미)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충청ㆍ강원, 광역 기초 여야 득표율 정반대
여야를 넘나드는 지그재그 민심은 충청과 강원이 대표적이다. 6ㆍ4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은 야당이 싹쓸이했지만 기초단체장은 여당이 대거 장악했다. 충남의 경우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정 당선자는 총 46만5,994표(52.2%)를 얻어 새누리당 정진석 후보(39만 2,315표ㆍ44.0%)를 상대로 크게 이겼지만 막상 기초단체 15곳 중 9곳은 새누리당이 차지했다. 기초단체장 득표율과 비교해보면 새정치연합 소속 후보들은 단순 합계로 38만 5,544표(47.3%)에 그친 반면 새누리당 소속 기초단체장 후보들은 42만 8,719표(52.7%)의 지지를 받았다. 광역과 기초에서 여야의 득표율이 정반대로 엇갈린 것이다.
박빙 승부를 벌인 충북의 경우도 새정치연합 이시종 당선자는 기초단체 11곳 중 8곳에서 앞섰지만, 기초단체장은 3명 당선에 그쳤다. 강원은 새정치연합 최문순 당선자의 재선에도 불구, 기초단체 18곳 중 1곳만 새정치연합이 확보했고 나머지는 새누리당(15)과 무소속(2)에게 내주며 사실상 몰패를 당했다.
표밭 자체가 보수, 야권은 인물 변수로 극복
충청과 강원은 그간 새누리당과 대통령 지지율이 과반을 상회하는 반면 새정치연합은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등 표밭 자체가 보수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야당의 광역단체장 승리는 인물 경쟁력으로 바닥 민심을 극복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특히 강원의 경우 새누리당 최흥집 후보가 약체로 평가돼 ‘인물 대 정당’으로 선거를 치렀다는 얘기마저 나왔다.
이런 보수 표밭에서 광역단체장은 인물론으로 승부를 볼 수 있지만 기초단체장은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기초단체장은 후보별로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에 사실상 정당이 상수로 존재한다”고 말했다.
더욱이 기초단체장 후보들은 오랜 기간 지역을 갈고 닦으면서 인지도를 높여야 하는데 야당 입장에선 그 동안 충청과 강원은 불모지였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 내놓을 사람부터 부족했다고 한다. 새정치연합 충남도당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인재 풀도 적은 데다 세월호 참사 이후 조용하게 선거를 치르느라 도전하는 신진 후보들 입장에서 한계가 있는 선거였다”고 말했다.
충청권의 경우 지난 대선에서 새누리당과 통합한 자유선진당 변수도 크게 작용했다. 사실 새누리당 기초단체장 당선자가 늘어난 데는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선진당 당선자들의 숫자가 그대로 옮겨온 측면이 크다. 야당 입장에선 3자 구도만 되더라도 보수 진영 표가 갈려 어부지리로 당선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는데 양당구도로 재편되면서 이 마저 기대하기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다만 대전의 경우, 새정치연합 권선택 당선자의 승리로 첫 야당 시장 테이프를 끊은 데 이어 기초단체장 5곳 중 4곳을 이겨 선전한 점은 주목된다. 새정치연합 대전시당 관계자는 “대전은 여야 성향이 뚜렷하지 않은 만큼 세월호 참사 등 이슈와 인물 변수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윤주기자 kk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