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자립이 주 목적이던 우리 인공위성이 앞으로 국부 창출에 본격 나서게 된다. 정부가 위성 정보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세계시장에 진출하는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30일 제7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위성 별로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한 데 모으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위성 정보의 유통과 상업화를 촉진할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가칭)를 설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1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위성 정보는 홍수와 지진 같은 자연재해 모니터링, 우주와 해양 감시, 대기오염 조사, 재난 구조 등 다방면에 활용될 수 있다. 때문에 우주 선진국들은 자국 위성의 정밀 관측 데이터나 고해상도 촬영 영상을 판매하기 위해 세계 시장에서 활발할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위성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개발 비용을 능가하는 막대한 효용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6,900억원을 들여 제작된 미국 지구관측위성 ‘랜드샛(Landsat)’은 2011년 한 해에만 2조4,000억 원의 활용 가치를 낸 것으로 2012년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총 12기의 위성을 개발했고, 현재 이 중 6기가 운용 중이다. 6기 가운데 하나인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가 2006~2013년 올린 영상 수입 대체 효과는 4,000억원 규모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기술 자립화에 초점을 뒀기 때문에 위성 정보를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데는 미흡했다는 평가가 많다.
이에 미래부는 현재 위성 관제와 데이터 분석을 맡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내 위성정보연구소를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로 2015년 중 확대 개편해 위성 정보의 유통과 상업화 기능을 추가하기로 했다. “정보의 양과 마케팅 전략 등 여러 면에서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지만, 기술 수준으로 볼 때 향후 세계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성장 가능성은 높다”고 정대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 저궤도위성관제팀장은 내다봤다.
현재 위성 별로 따로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한 데 모은 통합 플랫폼은 2017년 완료될 예정이다. 그러면 국민 누구나 위성 정보를 손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국가우주위원회는 수명 다한 위성 같은 우주 잔해물, 소행성 등이 지구로 떨어지거나 우주공간에서 충돌하는 등의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항우연과 한국천문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과 함께 독자적인 감시 체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을 담은 ‘제1차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도 심의,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에 떨어져 큰 피해를 낸 첼야빈스크 같은 소행성을 24시간 내내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이 2020년까지 갖춰질 예정이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