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운동이 본격화했지만 교육감 선거는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 세월호 참사 영향으로 요란한 선거운동을 자제하면서 무관심이 커진데다 후보들간의 정책 경쟁도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2010년 첫 주민 직선교육감 선거 당시 무상급식과 혁신학교 등 핵심 교육정책을 놓고 격돌했을 때와는 양상이 판이하다.
전국 17개 시ㆍ도교육감을 뽑는 이번 선거에는 모두 72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평균경쟁률은 4.2대 1로 4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경쟁이 치열한 대도시 지역은 이른바 ‘깜깜이 선거’로 지명도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자칫 교육감 선거가 인지도 선거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교육감 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드러난다. 대다수 지역에서 교육감 후보별 지지율이 10%대에 머물고 있다. 유권자의 50~60%는 ‘교육감 후보가 누군지 모른다’고 답했다.
정책 대결이 실종되면서 해묵은 색깔론과 네거티브 공세가 노골화하고 있다. 서울시교육감에 출마한 한 후보는 “학교 현장에 전교조가 침투해 무상급식, 혁신학교, 학생인권조례 등으로 교육이 정치판으로 변질됐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후보는 “(교육감에 당선되면) 전교조 문제만큼은 무슨 수를 쓰든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전교조를 종북세력으로 규정하는 구태가 재연됐다. 교육감 선거에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고(헌법 31조4항), 정당의 지원을 받을 수 없도록(지방교육자치법 46조1항) 한 법규정이 유명무실하다.
전국 650만 학생들의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 선거가 네거티브 공방으로 얼룩지는 것은 유감스런 일이다. 학생들의 본보기가 되어야 할 교육계 맏어른을 뽑는다는 취지가 무색하다. ‘교육계 수장’이 되겠다는 후보들은 언행에서 각별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선거관리위원회도 현재 지역별로 한두 차례인 TV토론을 세 차례로 늘려 정책선거를 유도해야 한다. 유권자들은 선거 무관심이 교육정책의 낙후로 이어져 결국 자녀들에게 피해가 갈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교육감 선거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