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버지니아주 동해병기 법안 통과에 누구보다 감격한 사람은 피터 김(54) 미주한인의 목소리(VoKA) 회장이다.
그는 동해를 언급할 때 꼭 앞에다 "애국가에도 나오는"이라는 수식어를 붙인다. 이민 1세대인 그가 동해 병기 운동을 시작한 것은 2년 전 "초등학생 아들이 동해를 일본해로 부르는 것에 충격"을 받고 나서다. 어째서 '일본해'라고 하느냐고 묻자 아들은 이렇게 말했다. "학교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가르치고, 교과서에도 그리 돼 있다."
그래서 사람들을 모아 동해 교육운동을 벌이기로 했지만 처음에는 재미동포들조차 고개를 흔들었다. 그래서 VoKA를 통해 먼저 미국 연방정부에 청원을 넣었다. 하지만 "국무부도 백악관도 고개를 돌리지 않았다"고 그는 말했다. 일본해 단독표기는 미국 정부의 흔들리지 않는 원칙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김 회장은 야당인 공화당 정치인들을 움직여야겠다고 생각하고 그들을 상대로 이메일 공세를 벌였다. 공화당의 반응이 호의적이자 그 내용을 가지고 다시 백악관과 접촉했다. "그제서야 백악관은 교과서 표기는 연방이 아닌 주 정부 관할이란 정보"를 줬다. 이 때부터 동해병기 운동의 목표를 워싱턴 인근 버지니아와 메릴랜드주로 삼게 됐다.
메릴랜드 교육위원회를 상대로 한 동해병기 요구는 별다른 반대가 없었다. 짧은 시간에 무려 5개 카운티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문제는 6개주와 교과서를 공동 사용하는 버지니아주였다. 2012년 처음 상정된 동해병기법안은 상원의 문턱도 넘지 못했다. 이번 회기에는 일본 정부가 총력 반대 로비에 나서면서 또다시 고배를 마시는가 싶었다.
하지만 김 회장은 "일본의 총력 로비가 주정부 일에 개입하려 한다는 인상을 줘 오히려 역풍을 일으켰다"며 "15만 버지니아 한인의 힘으로 동해병기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는 "집요한 일본의 로비가 또 벌어질 수 있으니 주지사의 법안 서명이 있을 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리치먼드(버지니아주)=이태규특파원 t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