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30일 역대 최장 기간을 끌어온 철도노조 파업이 정치권의 중재로 극적 해결을 본 데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박근혜 대통령의 원칙적인 대응이 평가를 받으면서 공공기관 개혁 작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청와대는 이날 철도노조 파업 타결 소식이 전해진 뒤 사실상 표정관리에 들어간 모습이었다. 당장은 박 대통령의 집권 2년차가 시작되는 새해를 이틀 앞두고 철도파업이 해결됨으로써 극단적인 노정 갈등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덜게 됐기 때문이다. 그간 청와대 내부에선 철도파업이 장기화하면서 노동계의 반발 강도가 거세지고 이에 호응하는 시민사회ㆍ종교계의 움직임이 확산되는 데 대한 우려가 컸다.
청와대는 특히 '명분 없는 불법파업에 대한 비타협' 원칙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자평하는 분위기다. 이번 파업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강조해온 '비정상의 정상화' 의지가 뚜렷하게 각인됐다고 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범정부적으로 추진 중인 공공기관 개혁을 밀어붙일 추진력을 얻게 됐다는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철도노조의 파업 철회는 불법적인 집단행동과는 적당히 타협하지 않겠다는 박 대통령의 원칙적인 대응이 국민적 지지를 받은 결과"라며 "새해부터 본격화할 공공기관 및 공기업에 대한 개혁작업도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청와대 일각에선 이번 합의 과정에 대해 불만스런 기색도 보인다. 파업 노조원들의 복귀율이 30%에 육박할 만큼 철도노조의 투쟁 동력이 사그라지는 상황이라 조금만 더 밀어붙이면 노조가 백기를 들었을 것 아니냐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비판적인 기류는 비주류인 김무성 의원이 파업 철회 협상에 나선 것과 관련해 증폭되는 분위기다. 청와대나 새누리당 내 친박(親朴) 핵심들의 의중과 달리 김 의원이 독자적으로 협상을 주도한 데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실상 철도노조가 두 손을 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며 "김 의원이 굳이 나서서 철도노조에게 파업 철회의 명분을 준 데 대한 아쉬움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