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아한 것 중 하나가 한국인의 영어 발성은 일관성이 없다는 점이다. 가령 take care를 '테익케어'라고 발음하면서 talk show는 '토크 쑈우'라고 발음한다. 전자는 첫 단어의 종성과 둘째 단어의 초성이 같은 자음이기 때문에 하나를 생략하는 영어식 발성과 같다. 그러나 talk show를 '토크 쑈우'라고 발성하는 것은 100% 일본식 발성이다. '토~(ㄱ)쇼우'처럼 k음을 삼키듯 발성해야 원음에 가깝고 take care의 발성과 같은 방법이 된다. Summer를 발음할 때에도 m자음 중 하나는 생략하기 때문에 똑같이 적용해야 하는데 원어민의 '써머'와 달리 한국인은 '썸머'라고 발음한다.
똑같은 자음이 아닐 때에도 조음 방식이 같은 계열의 자음은 이 방식으로 해야 한다. 일례로 black gown의 경우 k와 g의 조합에서 k자 음을 입 밖으로 발성하지 않고 삼키듯 발성해야 원음에 가깝다. 연구개 경구개 같은 전문 용어를 몰라도 이 발성법만 응용한다면 종성 자음의 발성은 일본식이 아닌 영어식으로 발성할 수 있다. 가령 grandfather에서 일본식은 '그랜드파더'라고 분명하게 발성하지만 영어식은 첫 단어의 종성 d자음과 이어지는 f자음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d자음을 삼키듯 '그랜(ㄷ)파더'로 발성한다.
또 다른 예로 postman, windmill에서도 '포스트맨'보다는 '포?으퐈??낫고 '윈드밀'보다는 '윈(ㄷ)밀'이 원래 발음이다. 이 발성법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christmas cupboard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들 단어에선 각기 t음과 p음을 생략하는데 모두 마찰음(fricative, affricate)을 피하고 발음의 편리를 위한 것이다. Months의 발음에서도 -nths라는 자음이 이어지는데 이들 닿소리는 모두 발성할 수도 없고 발성해서도 안 된다. 그래서 원어민들은 가운데의 th음을 생략하듯 '먼쓰'라고 말하고 이를 무난한 발음으로 간주한다.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칠 때의 상황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Is she home?'에서 s와 sh가 연결되는 자음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첫 자음을 생략하듯 발성하면 '이즈 쉬~'가 아니라 '이 쉬~'가 된다. Horse shoe도 '호스 슈'가 아니라 '호-슈'처럼 발음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정확한 발음과 표현법 두 가지는 소통의 핵심 요소인데 자신의 발음이 원음과 유사하다면 이미 절반의 성공을 이룬 셈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