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에 따르면 봉하 이지원에는 두 가지 버전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존재한다. 하나는 삭제됐으나 검찰이 복구한 대화록(초안)이고 다른 하나는 국정원이 보관해온 대화록과 동일한 대화록(수정안)이다. 검찰은 초안과 수정안에 대해 "내용상으로 별 차이가 없다"면서도 "의미 있는 차이는 있다"고 밝혔다. 참여정부에서 대화록을 작성한 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적절한 발언을 수정했을 가능성을 시사한 말이어서 과연 '의미 있는 차이'가 무엇인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제 초안이 삭제됐다면 노 전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이 자신에게 불리하거나 논란을 살 수 있는 발언을 수정 혹은 삭제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지난 대선에서 새누리당이 제기한 'NLL(서해 북방한계선) 포기' 논란처럼 노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정통성과 안보 등에 대해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초안에 남아있었다면 향후 논란을 없애기 위해 손질을 했을 수 있다.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에 따르면 당시 정상회담에서 노 전 대통령은 서해 상의 충돌 방지를 위해 '서해 평화협력지대'를 제시했고 김 위원장은 NLL과 북측이 주장하는 군사경계선에 대한 '쌍방 포기'를 역제안한다. 이에 노 전 대통령은 'NLL 수호'를 강조하기 보다 답변을 애써 피하는 인상이 짙다. 만일 초안에서 오해를 살 수 있는 발언과 표현들이 발견된다면 'NLL 포기'에 버금가는 또 다른 논란으로 번질 수 있다.
일각에서는 노 전 대통령이 저자세를 취하거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은 대목을 수정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대화를 회피하는 김 위원장에게 애걸하다시피하면서 오후 회담을 성사시킨 것으로 대화록에 묘사돼 있다. 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대통령 본인이나 대한민국 대통령의 자존심이 깎이는 듯한 표현이 수정됐다고 추정한다"면서 "대통령은 국민의 대변인인데 김정일 앞에서 여러가지 자존심을 훼손하는 듯한 표현이 있어서 고치게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물론 참여정부 인사들은 초안과 수정안의 차이를 "오탈자를 고치는 수준"으로 보고 있다.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은 "국정원 만든 녹취록 초안을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자신의 메모 등을 근거로 부정확한 부분을 고쳐가면서 수정안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녹음 상태도 좋지 않았던 만큼 회담장에 배석했던 조 전 비서관이 오탈자를 수정하고 불분명한 부분을 정리했다는 주장이다. 국정원 대화록에서 드러나듯이 당시 두 정상 간 비교적 자유로운 대화가 오고 간데다 노 전 대통령의 직설적 화법을 감안하면 다소 거친 표현들을 순화했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김회경기자 herm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