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화록 논란] 최종본 언제 만들었나… 국정원본은 2008년 명기… 김만복 "2007년에 만들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화록 논란] 최종본 언제 만들었나… 국정원본은 2008년 명기… 김만복 "2007년에 만들어"

입력
2013.10.03 18:34
0 0

검찰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발표하면서 대화록의 생산과정과 대통령기록관 이관 당시 상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참여정부 인사들의 말을 종합하면 2007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청와대는 국정원에 의뢰해 두 정상의 대화를 녹취한 녹음파일을 풀어 문서로 정리한 초안을 보고 받았다. 이후 이 내용을 참여정부 청와대의 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에 전자문서 형태로 등록을 했고, 보완 작업을 통해 수정 대화록을 만들어 최종본으로 청와대와 국정원에 남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종본이 만들어진 시점에 대해서는 다른 증언도 나오고 있다. 당장 6월 대화록 논란 과정에 2008년1월 작성된 국정원본이 공개되면서 논란을 부추겼다. 당시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나는 분명히 (청와대 지시에 따라) 2007년 10월에 작성해 청와대와 국정원에 각 1부씩 보관하도록 담당 국정원 간부에게 '1부만 보관하고 나머지가 있다면 전부 파기하라'고 지시했다"면서 2008년 작성된 대화록을 전면 부인했다.

대화록을 이관하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다. 이지원 시스템의 원본 문서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기 전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국가기록원 기록물관리시스템(PAMS)으로 이관이 완료됐다. 문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8년 2월18일 이지원 시스템을 그대로 복제해 봉하마을 사저로 옮기면서 불거졌다. 이어 검찰 수사까지 진행되자 같은 해 7월 국가기록원이 봉하 이지원 서버 하드디스크를 모두 반환했다.

검찰 수사 결과 발표로만 보면 대화록이 봉하 이지원에만 탑재되고 PAMS에는 이관되지 않은 경위를 알 수 없다. 참여정부 인사들도 "그 대목이 의문인데 검찰이 서둘러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의혹만 부추겼다"고 반발하고 있다. 다만 이지원 시스템이 통째로 PAMS로 이관되지 않고 이관용 외장하드와 소스코드 및 데이터 저장매체를 통해 분리된 채 이관된 점으로 미뤄 이 과정에서 누락됐을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다.

초안이 삭제되고 수정 대화록을 만든 시기나 과정도 불분명하기는 마찬가지다. 이와 관련 노무현 정부 시절 마지막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낸 박명재씨는 3일 "청와대가 기록물을 (봉하로) 가져가서 이명박 정부 들어 대통령기록관에 넘기기 전까지 그 문서를 수정했을 가능성, 개연성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검찰이 수정 대화록과 국정원본의 내용이 동일하다고 발표했고 국정원본은 2008년 1월에 작성한 것으로 명기돼 있어 대화록이 이후에 더 수정됐을 가능성은 떨어진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강윤주기자 kk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