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전교조의 전국 학생인권∙생활 실태조사에서 체벌의 대체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벌점제는 교육적 효과는 없고 부정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도입된 벌점제에 대한 최초의 전국 조사인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64.8%는 벌점을 받고도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벌을 주는 기준이 확실하지 않다(62.2%)', '벌점에 대해 반대하는 말을 할 수 없다(56.2%)', '벌을 받는 학생이 늘어난다(54.2%)', '벌점을 무기로 학생을 협박한다(52.9%), '학생과 교사 사이가 멀어진다(52.8%)'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대구의 한 고등학교를 졸업한 김모군은 "벌점제 도입으로 체벌이 약간 줄기는 했지만 '맞을래, 벌점 받을래'라고 강요하거나, 사소한 것에도 벌점을 줘 학생이 오히려 체벌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며 "벌점을 주는 기준도 교사 마음이어서, 자습시간에 인문학 책을 봤다는 이유로 교사 지시 불이행 명목의 벌점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벌점이 쌓이면 어떤 벌을 받느냐'는 질문에 21.9%가 기합이나 체벌이라고 답해 벌점제와 체벌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학교생활에 대한 상담이나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은 17.3%에 불과해 벌점제가 학생을 벌주는 수단으로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벌점이 쌓여 벌을 받은 이후에도 벌점이 그대로 쌓이거나(29.8%), 다시 벌점을 받으면 더 심한 벌을 받는 등(21.4%) 학생을 문제아로 낙인 찍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김진우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벌점제는 벌점의 남용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유발, 교사와 학생 간 불통과 관계 악화 등 부정적 측면이 더욱 크다"고 지적했다.
권영은기자 yo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