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양플랜트, 뿌리산업, 전자기기 내장형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섬유 패션 등 4대 전략산업 분야에서 2017년까지 일자리 3만7,000여개를 늘리기로 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산업경쟁력 제고와 공급자 중심으로만 이뤄져 온 기존의 정책 패러다임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실험적 구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인재양성만이 실질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원동력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산업부는 해양플랜트 인력양성을 위해 특성화대학과 취업연계형 석ㆍ박사 협동과정을 확대 운영키로 했다. 뿌리산업에선 국내 대학(원)의 커리큘럼을 복원해 전문이론과 현장기술을 겸비한 고급인력을 양성키로 했다. 이들 분야는 미래 고부가가치 국가전략산업이지만 해당 기업들은 만성적인 구인난을 겪고 있고 인력양성마저 어려워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부의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향후 5년간 이들 분야에서 4만5,000여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문제는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과 정부의 실천의지다. 지식경제부가 2011년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까지 만들어 놓고 예산부족으로 특화단지 조성이나 발전위원회 설립도 못한 선례가 있다. 이번 정책이 효과를 보려면 인력양성을 통해 필요한 산업현장에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정부가 인력양성에만 그치지 말고 이들이 일할 수 있는 수요기반 조성과 확대에까지 힘을 쓰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 일례로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에 대한 맞춤식 육성은 물론 LNG선 등 발주와 연계된 국내 기자재업체의 수행실적 확보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져 한다. 뿌리산업에도 인재를 끌어들일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정부가 지원금을 쏟아 부어 전문인력을 배출해도 근로현장에서 제대로 대우받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다. 산업부가 발표한‘일자리 3만 7,000여개 만들기'가 자칫 숫자놀음으로 흐르지 않도록 구체적인 실행 방안들이 마련돼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