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해안의 생태계 판도가 해수온도 상승 등 기후변화로 크게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아열대 해조류 양식기술 개발과 주요 양식 품종별 관리지침 제정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23일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1970년 이후 전남지역 해수 온도는 평균 0.81℃ 상승했고, 지역별로 동부해역(여수시)는 0.90℃, 중부해역(완도군) 0.65℃, 서부해역(진도군)는 0.88℃ 올랐다. 이는 최근 100년간 지구 평균 상승온도 0.74℃ 보다 0.07℃도 높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연안 해조류 서식 분포와 생물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온대성에서 아열대 해조류상(狀)으로 생태계가 바뀌었다.
그동안 동해안에서 잡히던 오징어는 주 생산지가 서해안으로 넘어간 지 이미 오래됐고열대어인 두동가리돔은 부산연안에서, 한류성 어종인 대구는 제주도 인근에서 잡히고 있다.
어류는 해수온도 15℃ 이상 기간이 7개월에서 8~9개월로 늘어나 양식어류 조기성장과 사육기간이 크게 단축됐다. 또 패류는 굴과 새꼬막 조기 채묘가 가능하고 해조류는 김, 미역 등 성장 적정 수온이 2~3℃ 오르는 등 변화했다.
해수온도 상승에 따른 악영향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어류양식은 넙치 바이러스 발생시기가 2개월 가량 당겨진 매년 2~3월부터 발병하고, 돔류도 바이러스 감염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수온이 낮아야 잘 자라는 김과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채묘시기 지연, 양식어기 단축, 엽체 변형 등 피해가 속출했다. 굴과 새꼬막, 홍합 등 패류도 양식순기가 단축돼 폐사율 증가, 먹이생물 결핍, 생산량 감소 등 후유증이 심각하다.
아열대성 유해생물인 맹독성 해파리가 급증하고 적조생물 출현종도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가칭 '전남기후변화 대응 연구사연구사업단'을 운영하는 등 분야별 종합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해양생태계와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연안 바다숲 조성사업과 해조류를 활용한 바이오 연료 생산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김과 미역 등 고수온 적합 품종 개발과 곰피, 감태 등 아열대성 대형 갈조류의 양식 기술 개발, 먼바다(외해) 어류 양식 도입, 월동(越冬) 가능어장 개발 등도 추진한다.
하지만 어류와 해조류 등 수산물 양식이 갈수록 경쟁력을 잃어가는 상황에서 이런 대책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전남도 관계자는"톱날꽃게 홍다리 얼룩새우 등 과거 볼 수 없었던 아열대 생물이 남해까지 점령한 상태다"며"위기가 반전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박경우기자 gw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