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당사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중국은 이달 18일 정부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1.5트랙 회담을 관련국들에게 제안했고 미국은 대니얼 러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와 6자회담 수석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다음주까지 잇따라 한중일 3국에 보내 2008년 12월 이후 중단된 6자회담의 재개 여건이 무르익었는지 탐색할 예정이다. 사실상 앞으로 1~2주가 6자 회담 재개 여부를 판가름하는 분수령이 되는 셈이다.
대화를 재개하려면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에 얼마나 성의를 보일 것인지가 관건이다. 한미 양국은 대화의 조건으로 북한이 지난해 미국과 맺은 '2ㆍ29합의 플러스 알파'를 요구하고 있다. 2ㆍ29합의 당시 북한은 ▦우라늄 농축프로그램(UEP) 중단 ▦핵ㆍ미사일 실험 유예 ▦국제원자력기구(IAEA) 감시단 입북 허용 등 비핵화 사전조치를 약속했지만 같은 해 4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면서 합의는 물거품이 됐다.
북한이 취할 '플러스 알파'에는 핵 관련 추가시설에 대한 동결조치가 거론된다. 특히 북한이 올 4월 재가동을 선언한 이후 시설을 확대하며 본격적인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영변 원자로와 주변 시설에 관련국들은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 태도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게 한미 양국의 판단이다. 따라서 중국이 제안한 18일 6자 당사국 회담에 대해서도 일단 회의적인 반응이다.
이와 관련, 정부 소식통은 "6자회담은 시기보다 내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를 외면하는 한 대화 테이블에 마주 앉아봐야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이 최근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북한에 보내 적극적으로 북미간 중재에 나서고 러시아도 대화 재개를 촉구하는 등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대화를 마냥 외면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한국, 미국, 일본은 18일 회담에 본국 대표가 아닌 주중 대사관 직원을 보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11년 9월에 열린 9ㆍ19 공동성명 6주년 기념 1.5트랙 세미나에서 중국과 북한은 6자회담 대표를 내보낸 반면, 한미일 3국은 실무 외교관을 옵서버 형식으로 참석시킨 전례가 있다.
다른 소식통은 "러셀 차관보와 데이비스 대표의 동북아 연쇄 방문을 거치면서 6자회담 재개의 가닥이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