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미친 속도의 시대, 쉬고 비우니 내가 우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미친 속도의 시대, 쉬고 비우니 내가 우주

입력
2013.08.30 12:08
0 0

지금 이 시인은 자동차에서 내려 저녁 시골길을 걷고 있다. "그동안 너무 빨리 오느라/ 극락을 지나쳤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서. 그리고 뒤돌아보며 떠올린다. "어디서 읽었던가/ 인디언들은 말을 타고 달리다가/ 영혼이 뒤따라오지 못할까봐/ 잠시 쉰다는 이야기를."('되돌아보는 저녁') 영혼을 놓쳐버린 정신적 미아들로 가득한 "이 서정 없는 문명"('풀잎 우표')의 세계에서 잠시 서서 뒤돌아보는 것. 이것이 미친 속도의 시대, 시인에게 부여된 소명이다.

공광규(53) 시인이 여섯 번째 시집 를 펴냈다. 1986년 등단한 이래 자본주의적 모순에 가열찬 비판을 멈추지 않았던 이 시인은 이번 새 시집에서 바야흐로 그윽하고 단아한 서정의 시편들을 선보인다.

흰 눈이 수백만 평 평야를 덮어 만든 원고지에 "너라는 세상에서 가장 깊고 아름다운 문장"을 쓰려다 말고('너라는 문장'), "물결무늬 등고선은 당신이라는 사막을 향해 불어간 슬픔의 지도입니다/ 당신을 향해 불어간 마음의 지문입니다"라고 고백한다.('사막이 우는 밤) 갈대도 대나무도 해금도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것들은 다 속이 비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속 빈 놈이 되어야겠다"고 결심도 한다.('속 빈 것들')

비운다는 것은 이 시인이 구축한 서정의 세계에 핵심적 원리다. "공시가격 구백만 원짜리 기울어가는 시골 흙집"에 살면서 "큰 고을 영주가 되는" 방법이 있다. 시집의 표제처럼 담장을 허무는 것이다. 오래된 담장을 허물고 나서 이 집 마당으로 들어온 것의 목록은 말 그대로 우주적이다. "연못에 담긴 연꽃과 구름과 해와 별들"까지…, 시인은 이 모든 것이 "내 소유라는 생각에 뿌듯하였다."('담장을 허물다')

"시는 사는 만큼 쓴다. 내가 참 보잘것없는 삶을 살고 있는 것 같다"는 시인의 말은 당연히 겸손이다. 사는 만큼 씌어진 이 정직한 시들은 기어코 아름답다.

박선영기자 aurevoi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