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수용으로 23일 판문점에서 열리는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에서는 상봉행사의 장소와 일시, 상봉 규모 등의 논의가 이뤄지게 된다.
일단 상봉시기를 두고 우리 정부는 '추석(9월19일) 전후'를 요구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제안하면서 시기를 '추석 전후'로 언급했기 때문이다. 북측도 시기 문제에서는 별다른 이의를 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무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 남북간 교차 생존자 확인 등 준비작업에만 보통 두 달 이상 걸린 반면 추석까지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인 게 정부의 고민이다. 더욱이 북측은 전산화 미비로 사람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도 걸림돌이다. 다만 가장 마지막으로 이뤄진 2010년 10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는 남북이 신속한 준비작업으로 한 달 만에 상봉 행사를 치렀던 점을 감안하면 추석 전후 만남도 불가능한 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시기문제와 달리 상봉장소는 양측의 수싸움 양상이 빚어질 공산이 크다. 북한은 금강산을 제시해 둔 상태지만, 우리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우리측이 최근 달라진 북측의 자세에 호응해 전향적 입장을 가진다면 금강산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금강산 관광도중 피살된 박왕자씨 사건 이후 재발방지 대책이 나오지 않은 상태여서 이산 가족들의 상봉 편의성 등을 이유로 서울과 평양을 오가면서 상봉행사를 갖자는 입장으로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북측의 반발이 예상된다.
상봉 규모를 두고서는 양측이 이견을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상봉규모를 전례대로 100명을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우리정부는 이산가족들의 고령화 등의 이유를 들어 300~400명 이상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이산상봉 정례화를 놓고서도 남북한간 입장이 달라 조율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번 실무접촉에서 우리측은 국군포로와 납북자 상봉 문제 등 인도적 사안도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이번 이산가족 상봉접촉을 계기로 식량과 비료, 수해복구 물자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점쳐진다.
한편 23일 회담에서는 우리측은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이, 북측에서는 박용일 조선적십자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이 대표로 나온다.
사정원기자 sjw@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