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공개된 7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연내 양적완화 축소가 기정사실화하면서 출구전략 시기와 규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음달 6일 미국의 고용지표 발표에서 실업률 등이 크게 낮아진다면 전격적으로 축소가 시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달러 투자자금 비중이 높은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위기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회의록 공개는 양적완화 축소 결정이 경제지표, 특히 고용지표 동향에 의해 결정될 것임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내달 발표되는 8월 신규고용이 10만명 수준을 밑돌지 않는다면 FOMC는 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일부 신흥국들은 벌써부터 연일 통화가치가 사상 최저를 갱신하고, 국채 금리가 뛰어오르는 등 큰 파동을 겪고 있다. 출구전략이 가시화한다면 경상수지 적자 폭이 크고 국가부채가 높은 이들 국가들은 감당하기 힘든 충격에 휩싸이게 된다. 손위창 현대증권 연구원은 “현재 금융불안에 시달리고 있는 신흥국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선진국보다 경제성장 속도가 빨라 양적완화 기간 동안 엄청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됐다”며 “양적완화 축소 시 미국 채권 금리 상승 등으로 불안한 신흥국에 대한 투자금 회수 움직임이 급격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시장충격을 감안해 양적완화 축소가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일부 전문가들은 양적완화 축소 규모가 매달 100억~150억달러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양적완화 종료까지 6~9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상재 현대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이 회의록에서 연내 양적완화 축소만 확인하고 시기와 규모를 명시하지 않았다”면서 “연준이 온건하게 자산매입 속도를 축소하기로 가닥을 잡는다면 신흥국 위기는 상당 수준 가라앉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9월부터 양적완화 축소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출구전략 속도가 너무 빠르면 세계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높은 만큼 완만한 회복세가 유지되도록 점진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영향으로 국내증시도 22일 5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고, 원ㆍ달러 환율도 5.6원 오른 1,123원으로 마감해 이달 들어 처음으로 1,120원대로 진입하는 등 영향을 받고 있다. 하지만 위기를 겪고 있는 신흥국들에 비해 변동성은 크지 않은데다, 경상수지 흑자 등 기초체력이 비교적 튼튼한 만큼 견뎌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박세원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양적완화 이후 디커플링에 시달리며 외국 자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온 편이 아니라서 본격적이 자금유출이 시작돼도 충격이 덜하다”고 말했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6월 이후 인도와 인도네시아 증시는 양적완화 축소 예상으로 자금 이탈이 지속되지만, 국내 증시는 지난달부터 외국인들의 순매수 흐름이 보이는 등 안정적인 대외 건전성을 고려할 때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2008년 말 금융위기 이후 국내 주식과 채권에 투자된 미국계 자금이 105조원이나 되고, 만일 이 자금이 일시에 빠져나간다면 금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밖에 없어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말 136조원에 달했던 미국계 국내 증권 투자자금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2008년 말 68조원으로 1년 동안 절반이나 빠져나갔다. 하지만 당시는 위기가 확산되던 시기이고, 현재는 위기에서 벗어나는 국면이기 때문에, 이번엔 자금 이탈은 있더라도 그 강도나 기간은 짧을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박관규기자 ace@hk.co.kr
강지원기자 styl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