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의 송환 제안/한중 직접 외교채널 통해 진행 가능성… 추가 발굴 이어지는 만큼 송환 협상 정례화 가능성/우리 정부 제네바 합의에 따라 파주에 조성된 적군묘지에 안장… 북한은 97년 이후 “통일되면 찾아가겠다”며 거부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류옌둥(劉延東) 중국 부총리에게 6ㆍ25전쟁 참전 중국군 유해 367구를 유족들에게 송환하겠다고 제안함에 따라 경기도 파주 공동묘지에 안장돼 있는 중국군 유해 송환 작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군 유해 중 43구는 1980년대부터 1997년까지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북한 측에 인도됐다. 주한유엔군사령부가 판문점에서 군사정전위 비서장 접촉을 통해 중국군 유해를 군사정전위 북한측 대표를 통해 중국 측에 인도하는 방식이었다.
우리 정부는 1997년 이후에도 6ㆍ25전쟁 참전 국군 유해 발굴 작업에서 발견된 북한군이나 중국군 유해를 유엔사를 통해 북한 측에 인수 의사를 타진했지만 거부당했다. 북한은 “통일이 되면 찾아가겠다”는 식의 주장을 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여전히 군사정전위나 판문점 대표부를 통한 협의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군 유해 송환 협의는 한국과 중국 간의 외교채널을 통해 직접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류 부총리도 박 대통령의 제안에 “바로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보고 드리겠다”고 밝힌 만큼 중국 측도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정부는 박 대통령이 제안한 중국군 유해 송환 작업과 관련, 군사정전위를 통해 북한에 타진은 하되, 북한이 수용하지 않을 경우 유엔군사령부의 동의 하에 한국과 중국의 양자 협의를 거쳐 송환하는 방식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6ㆍ25전쟁에 참전했다가 사망한 중국군 유해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답곡리 공동묘지 내 적군묘지에 안장돼 있다. 적군묘지엔 6ㆍ25전쟁 북한군 전사자를 포함해 1,100여구가 묻혀 있다. 우리 정부는 ‘자기 측 지역에서 발견된 적군 시체에 대해서는 인도ㆍ인수에 대한 조치를 취한다’는 제네바 협정 120조와 인도주의 정신에 근거해 1996년부터 적군묘지를 조성했다. 적군묘지의 규모는 축구장 2개 크기인 6,099㎡(약1,845평)에 달한다. 조성 초기엔 유해가 100구 정도였지만 국군 유해 발굴 작업 과정에서 추가로 발굴된 북한군과 중국군 유해도 이 곳에 묻혔다. 적군묘지가 알려지면서 중국인 관광객의 방문 등이 이어지자 정부는 작년 8월부터 5억여원을 들여 묘지를 재단장했다. 이 과정에서 “적군 성지를 꾸며 줄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중국군 유해 추가 발굴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박 대통령의 이번 제안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의 6ㆍ25참전 중국군 유해 송환 절차 협의도 정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재용기자 jy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