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이 어제 군 최고위직인 최룡해 총정치국장을 중국에 특사로 전격 파견한 것은 여러 모로 관심을 끄는 일대 사건이다. 지난해 12월 장거리 로켓발사와 올해 2월의 제3차 핵실험 강행 이후 유엔안보리 제재결의 등 국제사회의 강력한 압박이 이어지고, 이에 대한 북측의 거친 반발로 한반도 정세가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국제사회의 압박 대열에는 중국도 가세하면서 북중관계가 전례 없이 냉각된 상태이기도 하다. 이런 때에 김 제1위원장은 최측근 인사를 특사로 파견해 북중관계 회복을 꾀하려 하는 것 같다.
특히 이번 특사파견은 내달 7, 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미 및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어 6월 하순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과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뤄졌다. 한국, 미국 , 중국의 3국 연쇄 정상회담의 최대의제 중 하나는 북한문제다. 목하 진행 중인 북중 특사외교 결과와 한ㆍ미ㆍ중 연쇄 정상회담 결과는 한반도 정세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
김 제1위원장이 특사를 통해 시진핑 주석 등 중국 지도부에 보낸 메시지의 내용은 아직 알려진 게 없다. 하지만 그간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등에 강한 불만을 제기해왔던 만큼 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박에 맞서 북중관계 회복에만 집착하지 말고 핵 및 미사일 개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한 우려에 부응하는 조치를 내놓기를 기대한다. 중국도 이번 기회를 북한으로 하여금 끝없는 도발위협을 자제하고 진정한 변화의 길로 나서게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북한의 대중 특사 파견으로 박 대통령의 내달 하순 방중의 의미가 한층 더 중요해졌다. 박 대통령은 방미에 이은 방중을 통해 북한 도발을 억제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한ㆍ미ㆍ중 전략대화 구상을 본격적으로 펼치고자 한다. 그러나 압박만 강화한다고 북한이 변하기는 어렵다. 한ㆍ미ㆍ중 전략대화는 북한도 동의하고 관심 가질 수 있는 비전을 만들어내야 실질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박근혜 정부의 외교역량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