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지난 7일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북한 문제의 키를 쥐고 있는 한국, 미국, 중국의 정상이 6월 이전에 모두 한차례씩 만나게 되는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내달 26~28일 베이징에서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21일 전해졌다.
이에 앞서 시 주석은 다음달 7, 8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만나 미중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로써 지난 7일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북한 문제의 핵심 당사국인 한국 미국 중국의 정상이 6월 이전에 모두 한차례씩 만나게 되는 셈이다. 북한이 올해 최대 역점사업인 전승절(7월27일) 60주년 행사를 앞두고 내부 결속을 위해 도발위협을 계속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6월에 잇따라 열리는 한미중 3국간 교차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긴장국면을 전환하는 계기가 마련될 지 주목된다.
정부는 당초 한중 정상회담 일정으로 6월 24~26일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6ㆍ25전쟁 63주년과 겹치는 점을 감안해 26~28일을 중국측에 통보했다는 후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6월 25일은 전쟁의 기억 때문에 한중 양국 모두 얼굴을 맞대기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다"며 "7월에는 일본의 참의원 선거가 예정돼 있어 가급적 6월 안에 정상회담을 열되 이날은 피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다만 회담 주최측인 중국이 우리 정부의 제안에 아직 확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은 "박 대통령이 중국에서 만날 지도층 인사들의 일정 조정 문제로 회담이 하루 이틀 앞당겨 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중 정상회담에 이어 6월 30일부터 브루나이에서 북한도 참가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열릴 예정이어서 북한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 주목된다. 북한 외무상은 매년 ARF에 참석해 입장을 밝혀 왔다. 한 외교 소식통은 "한미중 3국이 북한에 어떤 메시지를 던지느냐에 따라 북한의 반응이 달라질 것"이라며 "결국 6월 마지막 주가 지난 2월 3차 핵실험 이후 악화된 한반도 정세를 판가름하는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제이 카니 미 백악관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다음달 미중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지역, 글로벌 이슈 등 방대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눌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