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도입률이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란 근로자가 근무 시간과 형태를 원하는 대로 골라서 일하는 방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9일 '선진국 사례로 본 유연근무제 확산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내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률이 10%에 미치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는 50% 안팎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수치다.
유연근무제는 근무 형태에 따라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시간제 근무제, 재택근무제 등으로 나뉜다. 일감이 많을 때 근무 시간을 늘리고 일감이 적으면 줄이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국내 도입률이 6.1%로 일본(51.3%), 독일(40%)과 큰 차이를 보였다.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원하는 대로 정하는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는 국내기업은 3.3%에 불과했다. 역시 미국(54.0%) 독일(33.0%) 영국(9.4%) 등 대다수 선진국보다 떨어진다.
영국 기업의 88%가 활용하는 시간제 근무제는 국내기업 중 2%만 도입했고, 미국 기업의 51%가 활용중인 재택근무제 역시 국내기업 도입률은 1.4%에 머물렀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선진국들은 1980년대 여성의 경제활동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유연근무제를 적극 도입했다"며 "유연근무제 도입을 높이려면 여성의 경제활동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한상의는 유연근무제 일환으로 근로시간 저축계좌제 도입을 주장했다. 이는 초과근로수당 대신 초과근로시간을 적립해뒀다가 유급휴가로 활용하는 제도다. 독일기업의 41.9%가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불황기에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해당 제도를 도입하는 내용의 관련 법안이 국회 계류 중이다.
박주희기자 jxp938@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