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페놀사태와 수돗물 악취사건 등으로 홍역을 치른 대구시는 2011, 2012년 2년 연속 환경부 주관 물수요 관리 추진성과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에 선정될 정도로 깨끗한 물의 도시로 탈바꿈했다. 7개 하수처리장에서 하수를 100% 처리하면서 폐수가 흐르던 금호강에는 천연기념물인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것이다. 위기를 기회로 살린 대표적 경우다.
대구시가 '제7차 세계물포럼'을 계기로 '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 포스터 물포럼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21세기 선도산업인 물산업을 선점, 지역 성장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시는 올해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2,500억원을 투입, 대구 달성군 구지면 대구국가산업단지에 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프로젝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곳에 가칭 '한국물산업진흥원'과 '종합 물산업실증단지', '물기업 전용단지' 등이 들어서면 국가 물산업의 허브가 될 전망이다.
한국물산업진흥원은 국가 물산업 육성의 컨트롤 타워로서 부품소재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마케팅, 비즈니스 지원 등 역할을 하게 된다. 종합 물산업실증단지에는 물과 관련한 모든 신기술을 테스트, 점검하는 시설이 들어선다.
또 60만㎡ 규모의 물기업 전용단지에는 국ㆍ내외 200여개 물기업을 유치, 신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마케팅 및 해외진출 지원, 기술 및 정보공유 등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된다.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지난달 9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미래 지향적 세계물포럼 행사를 추진하고, 창조경제적 시각에서 국내 물산업도 첨단화하며 세계진출 기회도 마련하라'고 당부, 탄력을 받고 있다.
한편 대구는 낙동강과 금호강 등 수자원이 풍부하고 IT와 BT 등 연관산업이 발달해있으며 지역 대학으로부터 전문인력 확보가 쉬워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지로 최고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 또 주변 산업도시와의 연계성, 광역교통망, 수처리 인프라 등 사회 지리적인 강점이 있는데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통한 국내외 투자유치 기반도 잘 갖춰져있다.
대구시는 1월 대구경북연구원과 대구테크노파크 등 실무 박사급 전문가 11명으로 '물산업 클러스터 추진 실무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했다. 환경부도 이달 기본계획 용역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실시설계를 마치고 2015년 착공, 2017년 완공 예정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노용우 대구시 세계물포럼지원팀장은 "90년대 대표적 물 오염 도시였던 대구가 신기술을 탄생시키는 블루골드의 도시로 탈바꿈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준호기자 jhj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