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공간 나누고 물건 나누고 공유경제 "불황은 없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공간 나누고 물건 나누고 공유경제 "불황은 없다"

입력
2013.04.28 18:30
0 0

저렴한 모임공간회의실 빌려주고 스터디 장소 제공…활용도 낮은 부동산이 유용한 공간으로 변신'국민도서관 책꽂이' 인기기부받은 책 창고에 보관… 특정 도서 원하는 사람에택배비만 받고 배송… 회원수 4000명 가까이공유 품목·이용층 확대 등 공공기관 지원도 절실

홍보마케팅 회사에 다니는 신정희(26)씨는 외부 업체와 회의를 할 때면 서울 신촌에 있는 모임전문 공간을 주로 이용한다. 신씨 회사는 서울 광화문, 외부 업체는 구로동에 있어 서로 만나기 편한 데다 프리젠테이션과 회의를 할만한 장소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신씨는 "회사 회의실 사용이 여의치 않을 때가 종종 생기는데다, 정식 회의보다는 무겁지 않은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의견을 교환하기에 모임전문 공간이 유용하다"고 말했다.

불황이 지속되면서 재화와 공간을 나눠 쓰는 '공유경제' (sharing economy)가 급성장하고 있다. 공유경제는 활용도가 낮은 물건이나 부동산 등을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 이를 통해 소유자 입장에선 효율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값에 구입할 수 있는 '협력적 소비'가 가능해진다.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구조적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데다 소득이 크게 늘어나기도 어려워 공유경제가 꽃 필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한다. 물론 공유제품 확대와 젊은이에 치중한 서비스 보완 등 해결 과제도 적지 않다.

28일 산업계에 따르면 직장인과 대학생 등을 상대로 스터디 공간과 회의실을 빌려주고 이용료를 받는 업종이 성황이다.

대표적으로 '토즈'라는 회사는 서울과 부산, 경기권에 스터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21개 전문모임 공간을 운영 중이다. 이 중 7개는 강남권 직장인들을 위한 비즈니스센터로 운용하고 있다. 이 센터는 창업단계 회사의 직장인들이 주 수요층이며 이용료는 4인실 기준 1시간에 1만5,000원, 6인실은 2만원이다. 대부분 2~3달 장기계약으로 이용한다. 전문모임 공간은 1인당 1시간에 6.000원이며 주로 단기계약이다. 비즈니스 수요가 많은 강남과 신촌을 중심으로 10~15개 업체가 성업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보관하기 힘든 책을 모아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는 '국민도서관 책꽂이'도 인기다. '국민도서관 책꽂이'는 회원들이 기부 개념으로 책을 보내면 회사인 '국민도서관 책꽂이'가 보관하면서 특정 책을 원하는 사람에게 택배비만 받고 배송해주는 도서 공유 서비스. 2011년 10월 31명이었던 회원 수가 올해 2월 3,599명으로 100배 이상 치솟았다.

공유경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콜래보레이티브 펀드'(Collaborative Fund)의 크레이그 사피로 대표는 '국민도서관 책꽂이'를 "세계 유일의 공유경제 모델"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국민도서관 책꽂이' 측은 시험 서비스가 끝나면 여름이나 가을쯤 정규 서비스를 열고 월 3,000원 안팎의 정액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 책을 보관하는 창고를 현재 49.5㎡(15)평에서 198㎡(60평)으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보관된 책은 2만1,861권.

공유경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침체에 따른 소유ㆍ소비 관습의 변화와 정보기술(IT)의 발전, 공동체 기반의 소비문화 확산에 영향 받아 급격히 커지고 있다. 지난해 공유경제 규모는 미국 110조원, 영국 28조원 등 총 55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포브스는 올해 공유경제 규모가 25%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민간의 공유경제 확대에 발맞춰 지방정부도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공유도시'를 만들겠다는 약속에 따라 연말까지 공유 촉진 조례를 만들기로 했다. 이미 2월 말부터 승용차 공동이용 서비스인 '나눔카' 제도를 시행 중이다. '여러 사람이 차를 함께 사용한다'는 뜻의 나눔카는 승용차 한 대에 여러 사람이 약속을 맞춰 좌석을 공유하는 '카풀'과는 다른 개념이다. 서울 292개 주요 지역에 공유차량을 배치해 놓고 이용자가 거리만큼 사용한 뒤 요금을 내는 방식이다.

공유경제가 확고히 자리잡으려면 공공기관의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자동차, 사무공간, 책 등 한정된 물품에서 품목 수를 더 확대해 규모를 키워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한편으론 공유경제 기업이 웹이나 모바일 기반의 서비스 일색이어서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익숙한 젊은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점도 사업모델 확장의 걸림돌이다.

이장우 경북대 경영학과 교수는 "공유경제는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개인들에게 기회를 주려는 새로운 변화와 맞닿아 있다"며 "소비자도 좋고 기업도 이익을 보는 공유경제의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균 서울시청 사회혁신담당관은 "공유경제는 자원낭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소득을 창출해 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법규와 인프라가 미비가 한 점은 빨리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성재기자 passion@hk.co.kr

신미림 인턴기자(숙명여대 정보방송학과 4)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