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대가 활짝 열렸다.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가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하고 국무총리실과 공정거래위원회, 기획재정부 등 정부 6개 부처가 새로 마련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했다. 중앙행정기관 이전은 세종시를 국가균형발전의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국민적 합의가 실현되고 있다는 의미다.
세종시가 출범하기까지 진통도 컸다. 2002년 노무현 당시 대통령 후보가 대선공약으로 내건 신행정수도 건설은 우여곡절을 거듭했다. 200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로 신행정수도는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축소됐지만,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철학으로 탄생한 세종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진 행정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세종시 면적은 465㎢, 서울 면적의 4분의 3에 해당한다. 2030년까지 계획인구는 70만명(구도심 포함)이다. 행정구역은 1읍 9면 1동으로 2013년 3월 말 기준 11만6,000여명이 '세종시민'이 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정부부처 입주가 이어진다. 연내 고용노동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국책연구기관 등 18개 기관이 세종시로 이전한다. 내년 말이면 국세청과 법제처 등 6개 기관이 추가 이전할 예정이다. 내년까지 정부 기관이 이전을 완료하면 본격적인 '세종시대'가 펼쳐진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건설 초기 단계인 만큼 주민편의시설 부족, 교통ㆍ의료ㆍ교육시설 등의 절대적 부족으로 신도심 지역 시민들은 불편을 감내하고 있다. 신도심과 구도심의 균형발전도 풀어나가야 할 과제다. 광역자치단체 기능을 수행할 재원마련도 현안이다. 세종시는 광역자치단체이지만 재원은 여전히 연기군 수준을 맴돌고 있다. 정부가 광역자치단체에 지원하는 특별교부세가 인구 기준으로 배분되기 때문이다. 세종시설치특별법 개정안에는 제주특별자치도와 같이 '특별교부세 총액 대비 지원'을 담고 있다. 유한식 세종시장은 "세종시가 온전한 행정도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재원마련이 필수적"이라며 "정파와 당리당략을 떠나 세종시설치특별법 개정에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시가 자족기능을 확보하기 전까지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종시는 자족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교육ㆍ관광기능 확충 및 기업 유치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최근 대전보건대학을 연서면에 유치했고, 소정면에'세종첨단기업단지(가칭)'를 조성해 33개 수도권 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 연동면 명학산업단지에도 30개 LED 관련 기업을 유치했다. 또한 시립의료원 설립해 서울대병원에 위탁운영하기로 했다. 충남대병원 세종의원도 3월부터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진료를 시작했다.
교육은 세종시의 인구유입과 자족기능 확보에 매우 중요한 분야다. 첫마을 아파트 단지(6,520가구)내 4개 학교에서 도입한 스마트수업은 국내는 물론 해외로부터도 주목받고 있다. 세종시는 교육청과 함께 스마트 교육 강화와 함께 교육시설 격차 해소에도 주력하고 있다. 정부청사 중심으로 산재한 호수공원과 박물관단지, 대통령기록관, 국립수목원 등 풍부한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 육성도 세종시의 주요한 전략사업이다. 또한 인근 대전과학벨트거점지구와 연계한 과학벨트기능지구에 거는 기대가 크다. 세종시는 과학벨트에 근무하는 연구원의 교육과 주거에 최적지라는 판단에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및 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협력해 과학벨트기능지구 조성에 앞장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윤호익 세종시 행정복지국장은 "세종시는 걸음마 단계이지만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건장한 청년으로 무럭무럭 성장할 것"이라며 "정부는 물론 국민들도 관심을 갖고 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을 키워야 할 책무가 있다"고 말했다.
윤형권기자 yhk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