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 뿐 아니라 학생의 개인환경, 특기, 창의력 등 잠재력까지 종합적으로 반영해 합격여부를 가리겠다며 이명박 정부가 도입한 입학사정관 제도의 부실운영 실태가 드러났다.
감사원이 11일 발표한 '창의교육실태 감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서울소재 주요대학 사립대 신입생 28%가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선발됐다. 하지만 관리는 부실하기 짝이 없었다. 대전, 대구, 울산 지역 고등학교 205곳에 대한 감사결과 입시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생활기록부를 임의로 고쳐준 사례는 45개교에서 217건이나 됐다. 교사의 업무소홀로 입력항목을 누락한 경우는 217건(27개교), 다른 학생의 내용을 잘못 옮겨 쓴 경우도 101건(42개교)에 달했다.
경남 창원교육지원청의 경우 경찰로부터 허위봉사 실적이 발급됐다는 수사결과를 통보 받고도 해당 학생들의 소속 고교에 이 내용을 알려주지 않아 학생 31명의 허위 실적이 생활기록부에 그대로 기재되기도 했다.
대학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학생들의 자기소개서 베끼기를 막기위해 대학들에 보급된'유사도 검색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대학이 41개나 됐다. 추천서의 유사도가 90% 이상인 경우도 163건 적발되는 등 교사들의 추천서 베끼기 불감증도 심각했다. 또한 서울 소재 6개 사립대학의 경우 대입전형 시행 계획에 학생부 성적 반영 비율을 최소 20% 이상 반영하겠다고 공표했지만 실제로는 1.2∼13.7%만 반영한 사실도 드러났다.
특히 입학사정관은 대학에서 퇴직한 뒤 3년간 입시학원 등에 취업할 수 없음에도 전ㆍ현직 입학사정관 9명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입시학원 등 사교육업체에서 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입학사정관제는 이명박 정부의 핵심 교육 정책으로 2007년 20억원이었던 지원액은 2008년 157억원, 2011년 391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감사원 관계자는 "입학사정관제를 통한 학생 선발이 공정하지 않고 공교육 정상화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며 "모집 인원 확대보다는 신뢰성과 공정성 확보 등 내실화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