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으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중국 소설가 위화(余華ㆍ53ㆍ사진)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짝퉁 천국'으로 비난 받는 조국을 변호했다. 하루 1달러도 못버는 1억명 이상의 빈곤층이 있어 값싼 위조품을 소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위화는 불법복제 도서는 이들이 적은 돈으로 스스로를 고양할 수 있는 유일한 품목이라면서 "중국에서 빈곤문제가 지속되는 한 내 작품의 해적판이 유통되는 것은 온당한 일"이라고 썼다.
'가난한 자를 위한 해적판 책'이라는 제목의 14일자 칼럼에서 위화는 책, 음반, 영화, 게임 등 저작권 상품에 대한 불법 복제가 중국에 만연하다고 인정했다. 예컨대 당국 검열 때문에 대만에서만 출간한 자신의 에세이집까지 모조리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고 (2005)의 경우 출간된 지 며칠 만에 집 앞 가판대에 해적판이 진열됐다고 전했다.
위화는 중국 정부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해적판 도서 단속에 나섰지만 허점투성이라며 교도소와 내륙 빈곤지역을 대표적 사각지대로 꼽았다. 교도소는 재소자를 동원해 이익을 챙기려고, 산시(陝西)ㆍ장시(江西)성 등 내륙에선 부실한 재정을 충당하려고 각각 불법 출판사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담당 공무원과 경찰을 대동하고 불법 도서를 만드는 시골 공장을 덮쳤다가 지역 경찰을 대거 끌고 온 지자체장으로부터 "마을 수익사업을 왜 방해하느냐"는 항의를 받고 물러났다는 출판업자의 일화를 전한 위화는 "중국을 비난하는 서구 입장에서 불법 복제는 지적재산권의 문제이지만 중국에서는 법적 영역을 넘어선 사회문제"라고 진단했다.
위화는 "불법 복제의 보다 근본적 요인은 빈곤층의 수요"라며 "식료품 및 주택 가격 폭등으로 품질 좋은 정품을 살 여력이 없다 보니 사시사철 함량 미달의 상품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각박한 삶에 조금이나마 숨통을 틔울 수 있다면 지적재산권을 침해 당하는 일쯤은 감수할 뜻을 밝히며 그는 칼럼을 맺었다.
이훈성기자 hs021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