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행복수준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24위에 불과하며,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경제적 행복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층에 대한 공적연금 보완과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17일 '세대별 행복도 차이의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소득 ▲분배 ▲소비 ▲고용 ▲노후준비 등 5가지 경제지표를 '행복인프라'로 규정하고 세대별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60세 이상의 소득수준은 전체 평균소득을 100으로 봤을 때 64.5에 불과했다. 적자가구 비율도 60세 이상이 38.2%로 가장 높았고, 상대적 빈곤율 또한 40.0%로 40대(8.0%)보다 5배나 높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중산층 비중도 낮아져, 60세 이상의 중산층 비중은 46.9%로 가장 높은 20대(75.3%)보다 28.4%포인트 낮았다.
고용 안정성과 노후준비도 60세 이상이 가장 떨어졌다. 40대(78.3%)에 정점을 기록한 고용률은 60세 이상에서 37.5%로 급감, 20대의 58.1%는 물론 전체 평균(59.4%)에도 크게 못 미쳤다. 20~50대에서 77~84%를 기록한 공적연금 가입률도 60세 이상에선 14.6%로 뚝 떨어져 노후준비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일자리와 노후준비에 취약했다"며 "50대의 경우 임금피크제 확산과 정년 연장이, 60세 이상은 기초노령연금의 보완과 고령친화적 일자리 창출, 노부모 부양가구에 대한 지원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대혁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