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3차 핵실험에 이은 유엔의 고강도 대북제제, 한미군사훈련과 북한의 정전협정 백지화 선언…. 날로 거칠어져 가는 남북 쌍방의 으름장과 한반도의 긴장을 누구보다 첨예하게 느낄 이들도 2만여 탈북 주민들일 것이다.
1962년 '월남귀순자 특별원호법'의 제정과 함께 탈북자가 대한민국 법의 테두리 안에 든 지 올해로 반백 년이 지났다. 2000년대 들어 탈북자 숫자는 폭발적으로 늘었고, 성별 직업 등 인적 구성도 다양해졌다. 그 사이 관련법도 4차례 바뀌었고, 탈북자를 지칭하는 용어도 그들에 대한 국가의 처우도 사회적 인식도 달라져 왔다. 동시에 탈북자들은 스스로 택한 이 생경한 이념과 체제의 자장 안에서 보이지 않는 편견과 차별을 비집으며 어떻게든 뿌리 내리려는 안간힘으로 그 세월을 살아왔을 것이다. 우리는 그 과정을 최근 10년 새 역동적으로 확장해 온 탈북자 단체의 저변과 지향의 다양한 분화 양상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불과 몇 개의 대형 관변단체에 그쳤던 탈북자단체는 2013년 현재 무려 61개로 늘어났다.
우리는 우선 북한, 탈북, NK, 평양 등 고만고만한 낱말들을 품은 엇비슷한 이름의 저 많은 단체들이 도대체 무슨 일을 하며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었다. 또 단체들의 양적 질적 성장의 이면, 예컨대 난립 시비 등을 거칠게나마 엿봄으로써 그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시민사회단체 일반의 틀 안에 놓고 함께 해법을 모색해보고 싶었다.
그들 단체 중에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행동파 강경보수단체뿐 아니라 회원간 자활을 도우며 내실을 추구하는 소박한 생활단체도 있었다. 여성 친목단체도 여성인권단체도 있었고, 문화예술단체도 만날 수 있었다. 분석 대상이나 선전 수단으로 소비되기보다 독자적인 연구 주체로 활동하고자 모인 학술단체도 있었다. 우리는 그 단체들의 활발한 분화와 융합이 한국 사회를 지탱하는 다양한 하위 주체의 하나로 자리잡기 위한 모색의 형식이자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윤필기자 proos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