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2일 발표한 북한 3차 핵실험의 폭발력이 정확한지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북한 핵실험 폭발력을 6~7킬로톤(kt·TNT 6,000~7,000톤 폭발력)으로 추정한 반면 국제기구와 주변국의 관측치는 이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폭발력은 핵실험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기 때문에 이 같은 차이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국방부는 12일 "함북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리히터 규모 5.0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감지됐다. 폭발력은 10킬로톤을 넘는다"고 밝혔다. 10킬로톤은 수소폭탄에 근접한 폭발력이다.
하지만 국방부는 10여분 뒤 "다시 판단해 보니 진도가 4.9 정도며 핵폭탄 6~7킬로톤에 불과해 공격적인 핵폭발 수준에 못 미친다"고 말을 바꿨다. 원세훈 국정원장도 "(핵탄두) 소형화, 경량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고 핵무기화에 성공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날 포괄적핵실험금지기구(CTBTO)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북한 핵실험 지진 규모는 5.0으로, 2009년 2차 핵실험에 비해 강도가 2배 정도 세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국 지질조사국은 진도 5.1, 일본 기상청은 진도 5.2로 측정해 모두 우리 정부의 발표 수치를 상회했다. CTBTO는 200개국이 가입한 국제기구로 강원 원주시를 비롯한 전세계에 관측소를 설치, 핵실험에 따른 충격파 분석에 대해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지진파 분석 방식이 달라 생긴 차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국은 핵실험에 따른 인공지진의 P파를 분석하는 실체파규모(MB)방식을 활용하지만 다른 국가는 자연지진과 마찬가지로 지진파 최대치의 평균치를 계산하는 국지규모(ML)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13일 "풍계리와 가장 가까운 속초 등 전국 127곳의 관측소에서 지진파를 감지하고 있다"며 "진앙지와 가까운 곳에서 측정하는 결과가 아무래도 정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는 "지질 특성에 맞게 보정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우리는 북한과 가깝다는 이유로 정밀한 보정작업을 하지 않는다"며 "1ㆍ2차 핵실험 모두 미국에서 분석한 수치가 정확했다"고 말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