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사가 무급휴직자 455명 전원을 3월 1일 복직시키기로 합의했다. 배경과 이유를 떠나 다행스러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노사문제를 넘어 지난 4년 동안 우리사회 갈등과 불행을 상징하는 쌍용차 사태 해결의 물꼬를 뒤늦게나마 텄다는 점에서 그렇다.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노조의 불법파업에 이은 사측의 정리해고와 희망퇴직, 무급휴직으로 시작된 쌍용차 사태는 해고자들의 잇따른 죽음과 끝없는 농성에도 불구하고 출구가 보이지 않았다. 무엇보다 회사경영이 좀처럼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도 쌍용차는 불황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12만대를 생산하는데 그쳤다. 무급휴직자의 복귀조건인 최소한 2교대 근무 가능 생산량인 16만대에 한참 못 미쳤고, 공장 가동률도 50%를 밑돌았다.
이런 상황에서 더 이상의 갈등과 파국을 막기 위해 한진중공업 사태와는 달리 노사 스스로 무급휴직자 전원 복직에 합의한 것은 큰 다행이다. 이들 두고 한편에서는 국회의 국정조사를 피하기 위한 전략이란 의심도 하고 있다. 물론 그런 측면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그보다는 고통 분담과 일자리 나누기 양보를 통해 상생의 길을 찾겠다는 노사의 위기감과 의지가 엿보인다. 노조는 잔업과 특근을 없애 임금 30%의 감소를 감내하기로 했고, 회사(모기업)는 1조원의 투자계획을 밝혔다.
이번 합의로 쌍용차 문제가 말끔히 풀린 것은 아니다. 여전히 1,904명의 희망퇴직와 159명의 정리해고자들이 하루하루 고통 속에서 공장으로 돌아갈 날을 기다리고 있다. 그렇다고 지금도 인력이 남아돌고 있는 마당에 회사에 일방적 재고용만을 강요할 수는 없다. 방법은 하나뿐이다. 노사가 합심해 조업을 활성화하고 품질 좋은 제품을 많이 만들어 하루라도 빨리 경영을 정상화하는 길 밖에 없다. 기업 이미지와 대외신용도 추락을 염려하여 회사와 사내노조가 국정조사를 반대하는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사측의 결단과 노조측의 양보로 경영정상화와 해고자 원상회복의 비전이 담보된다면 굳이 정치권까지 나서서 이래라 저래라 개입할 이유가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