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견기업 규모가 세계 주요 경쟁국들 중 최저 수준인 것으로 조사돼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중견기업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사이에서 상생과 동반성장을 견인하는 국가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해야 하는 경제주체로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과 비교하면 세제혜택 등에서 역차별을 받고 있고, 대기업에게는 규모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점점 입지가 좁아지고 있어서 문제다.
코트라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국내 312만5,457개 기업 가운데 중견기업은 1,291개로 0.04%에 불과했다. 중소기업이 312만2,332개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대기업은 187개에 머물렀다. 고용 규모를 보면 중견기업이 108만명으로 전체 1,413만명의 7.6% 수준이었다. 중견기업은 3년 평균 매출이 1,500억원 이상이지만 대기업에는 속하지 않는 규모다.
문제는 세계 주요 국가들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중견기업의 규모가 너무 적어 경제의 중심추 역할을 제대로 해내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기준은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독일은 전체 360만개 기업 가운데 43만개(11.8%)가 중견기업으로 분류되고, 고용인원도 1,184만명으로 전체의 46%에 달한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로존 재정위기가 연이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은 이들 중견기업들로 인해 굳건히 버티고 있다.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중국, 일본도 우리보다 중견기업의 비중이 3~30배 이상 높다.
중견기업들은 중소기업에서 벗어나면 각종 혜택에서 소외되는 것이 큰 고충이라고 토로한다. 정책적 관심 범위에서 멀어지면서 자금이나 기술지원 등에서도 애로를 겪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일부러 중견기업으로 진입하지 않으려는 경향도 있어 오히려 기업가 정신이 후퇴하는 현상도 발생한다. 따라서 중견기업에 적합한 차별화된 육성ㆍ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부족한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중견기업이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견기업들이 우리 기업 생태계의 희망이 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