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내 친노 주류 진영과 비주류 그룹이 대선 패배 후유증을 수습할 비상대책위원회의 성격과 전당대회 시기 등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비대위의 활동 범위와 전당대회 개최 시점 등에 따라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진로가 조금 다른 각도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류와 비주류 측은 벌써부터 힘겨루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이에 박기춘 신임 원내대표는 29일 소속 의원 전원에게 비대위 구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그 결과를 취합했다.
대체로 친노 주류 측은 혁신적 이미지를 가진 외부 인사를 영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많이 제시했고 비주류 측은 당 내부사정에 밝은 인물이 주도해야 한다는 견해로 갈렸다고 한다.
또 전당대회 시기에 대해서도 친노 측은 5월, 비주류는 3월 실시 주장이 많았다.
한 친노 인사는 "비대위가 실질적인 혁신을 추진하는 혁신형 비대위로 가면서 범야권 통합의 기반까지 다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5월 전당대회 실시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이 수습되기 전에 당권 다툼만 벌이는 모습이 보여진다면 좋지 않다"며 "3월에 지도부를 뽑아놓고도 4월 재보선 결과를 놓고 또 물러나라는 주장이 나오면 곤란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여기엔 비대위 활동 범위를 재창당에 준하는 범 야권통합 준비로 확대해야 전당대회 개최도 늦어지면서 대선 패배에 대한 '친노 책임론'이 상당 부분 희석될 것이란 판단이 깔려 있다.
반면 비주류는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전당대회를 조기에 치르자는 쪽이다. 때문에 비대위도 공정한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관리형 비대위'이어야 하며 본격적인 당 쇄신은 새 지도부가 맡아서 하면 된다는 논리를 앞세운다.
쇄신모임 측 노웅래 의원은 "2월 말이나 3월 초에는 전당대회를 열어야지 임시기구인 비대위를 오래 끌면 안 된다"며 "대선에 책임을 져야 할 그룹은 시간을 좀더 끌어서 물타기를 할 생각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하루빨리 당이 새 모습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민주당이 의원총회 등을 통해 의견을 한 곳으로 모아야 하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새로 선임되는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이 문제가 일임될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은 기존 당규대로라면 내달 18일까지 전당대회를 열어야 하지만 물리적으로 시일이 촉박해 내년 5월18일까지로 개최 시한을 6개월 연장한 상태다.
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