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비상이다. 두부 콩나물 밀가루 채소 등 식탁 물가가 들먹거리는데다 각종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대통령 선거 직후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한 틈을 타 기습 인상하는 분위기라 소비자 입장에선 더욱 불쾌하다. 여기에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은 허용하면서, 식품업체 등 민간업체에는 가격인상 자제를 요청하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도 밉살스럽다.
CJ제일제당은 최근 두부 콩나물 조미료 등의 가격을 10% 가량, 풀무원도 두부와 콩나물 가격을 각각 7~10% 가량 올리기로 했다. 종가집도 두부와 콩나물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다. 소주와 밀가루 가격도 오른다. 하이트진로는 소주 출고가를 8.19%, 동아원은 밀가루 출고 가를 평균 8.7% 인상한다고 밝혔다. 특히 밀가루는 과자나 빵, 라면 가격의 연쇄 인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한파의 영향으로 채소 값도 치솟아 배추, 무, 대파의 소매가격이 많게는 두 배 이상 뛰었다.
공공요금도 오른다. 도시가스 도매요금, 광역상수도 요금,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택시 요금 등이 인상을 예고했다. 특히 택시요금은 전국 16개 광역 지자체 가운데 13곳이 인상안을 제출했고 3곳은 16~19% 인상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물론 그 동안 정부가 물가를 눌러놓았던 측면이 있다. 또 원자재 가격반영 시차가 대개 6개월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 상반기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상요인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통계청 조사처럼 인구 6명중 1명이 연간 1,000만원도 벌지 못하는 상황에서 물가가 오르면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진다. "모든 것이 다 오르는데 월급만 안 오른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물가 당국은 우선 이번 요금인상이 합당한 요인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과도기를 틈타 업체가 부당이득을 취하려는데 따른 것은 아닌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 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서고 원화가 강세를 유지해도 물가에 즉시 반영되지 않는 관행도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지금은 오히려 훨씬 주의 깊은 관리를 통해 민감한 시기의 민심을 안정시켜야 할 시기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