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1970~80년대 절대빈곤층이 많이 사는 지역에서 빈민지역운동의 하나로 등장했다. 주로 교회 등 종교단체가 중심이 됐다. 85년 서울 하월곡동에 자리잡은 산돌공부방이 첫 교회 공부방으로 꼽힌다. 1980년대부터 빈곤아동과 공부방을 지원했던 부스러기사랑나눔회는 "70~80년대 공단 농촌 달동네 등에 있는 교회의 목사와 아내가 5~10명, 많은 곳은 30~40명의 아이들을 돌보면서 공부방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공부방은 90년대 초반 인천 대구 부산 광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돼 100여개에 이르렀다. 종교기관과 사회단체 관계자, 대학생이 참여했고, 정부지원 없이 운영했다. 아동을 돌보기 어려운 빈곤 가정을 위한 민간 사회보장 시설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1997년 외환위기(IMF)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정과 결식아동이 크게 늘어나면서 공부방은 재조명된다. 아동복지 차원에서 바라보는 시각이다. 이 즈음 '저소득층 방과 후 아동생활 지도교사'라는 공공근로 사업을 통해 처음으로 국가 지원을 받았다. 2000년대 들어서는 빈곤아동에 대한 복지정책이 강조되면서 지금처럼 정부 지원을 받는 지역아동센터로 제도화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하지만 국가가 책임을 지고 아동돌봄에 대한 질적 향상과 운영의 안정화를 꾀하자는 입장과,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적 활동이 축소되고 국가의 통제와 규제로 획일화된다는 반대 입장이 맞섰다.
결국 2003년 12월 아동복지법이 개정되며 지역아동센터가 만들어졌다. 찬성 측은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를, 반대 측은 '전국공부방협의회'를 조직했다. 2003년 말 정부가 집계한 공부방은 244개였지만 지역아동센터로 바뀌면서 올 6월 현재 4,003곳으로 급증했다. 이용자도 2만3,347명(2004년)에서 10만7,171명(2012년) 크게 늘었다. 이 중 다문화가정 자녀는 6,567명, 새터민 자녀는 363명이다.
공부방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는 곳은 현재 12곳. 전국공부방협의회 관계자는 "아동복지법 개정 이후 400여곳이던 공부방 중 300여곳이 지역아동센터로 통합됐고, 나머지는 민간 공부방으로 남았으나 대부분 문을 닫았다"며 "공부방과 지역아동센터가 분리됐지만, 상호 보완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민식기자 bemyself@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