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대표적 갈등으로는 남북 지역 계층 세대, 이 네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남북갈등이야 분단국가의 상수(常數)이니 더 설명할 것도 없다. 나머지 세 가지 가운데 지역갈등은 여전하긴 하지만 대체로 완화돼가는 것처럼 보인다. 점차 심해지고 해결하기 어려워져 가는 것이 계층과 세대간 갈등이다. 특히 세대갈등은 계층갈등까지 함유한 위험인자다.
세대갈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서로 너무 다른 정치ㆍ사회적 견해이며 그런 차이가 대표적으로 표출되는 계기가 각종 선거를 비롯한 정치행사다. 이제 겨우 5일 남은 12ㆍ19 대선은 그 전개양상으로 볼 때 '세대전쟁'이라 할 만하다. 세대간의 정치적 접점이 너무도 없기 때문이다.
여러 여론조사를 통해 드러난 것은 박근혜 후보가 5060세대, 문재인 후보가 2030세대를 장악하고 있는 점이다. 지지율의 높낮이에서 차이가 조금 날 뿐 추세는 요지부동이다. 이번 18대 대선에서는 16ㆍ17대 대선보다 세대전쟁이 더 심해졌다. 세대 별로 박 후보와 문 후보의 지지율은 적게는 20%포인트, 많게는 4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사실상 보수(이회창) 대 진보(노무현)의 양자대결로 치러진 16대 대선보다 더 심하다.
이런 현상은 두 후보의 성향과 지지층이 처음부터 대쪽이 갈라진 듯 서로 다른 데다 선거 판세가 초박빙의 접전을 보이자 양 진영이 세 결집에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 후보와 민주통합당이 안철수와의 단일화에 매달린 것은 안철수 표의 바탕인 '2030' 파워 때문이었다. 조국 서울대 교수가 "늙은 부모님을 투표하지 못하도록 멀리 휴가 보내드리겠다."는 글을 리트윗해 논란이 됐던 것도 그런 마음의 반영이다. 문 후보 지지자들 중에는 대선일에 날씨가 추워져 50대 이상의 투표가 부진해지기를 기대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세대 구성을 따져보면 2030세대의 투표율 상승효과는 제한적이다. 2002년 16대 대선 당시 2030세대는 전체의 48.3%였으나 10년이 지난 올해 4월 총선에서는 38.6%로 떨어졌다. 이 기간에 5060세대는 10.4%포인트 증가한 39.6%로 비중이 높아졌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세대구성 역전현상이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박근혜(여당)를 지지하고, 젊으면 누구나 다 문재인(야당)을 찍는 건 아닐 것이다. 이명박 정동영 이회창 삼자가 대결한 17대 대선에서는 젊은 층의 지지를 받았어야 할 법한 정 후보가 2030세대에서 이명박 후보 득표율의 반 정도밖에 건지지 못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 당선의 1등 공신이었던 그때와 지금은 사뭇 다르다. 세대별 대체적 투표성향을 감안할 때 이번 대선은 초박빙의 승부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인자가 작동하는 셈이다.
올해 4ㆍ11 총선에서 2030세대의 투표율은 41.7%, 5060세대의 투표율은 65.5%로 집계됐다. 문 후보 측으로서는 어떻게 해서든 젊은 층을 더 치열하게 집중 공략할 수밖에 없다. 전 당원과 지지자가 정권교체 바람을 일으키자는 취지에서 투표율 77% 달성을 목표로 '바람개비 운동'을 벌이는 것은 사활을 건 전략이라 할 것이다.
이 '깜깜이 국면'에 각종 의혹 제기와 상대를 비난하는 네거티브 전략이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정작 걱정스러운 것은 선거 이후다. 누가 당선되든 젊은 감성을 존중하고 나이든 경험을 중시해야 나라를 제대로 운영할 수 있다. 당연히 어려운 과제이며 거의 불가능한 일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게 되도록 애쓰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게 중요하다. 요즘 송년회에서 '소화제'라는 건배사가 유행하고 있다. 소통과 화합이 제일이라는 뜻이다. 세대갈등 해소에 직결된 말이라 할 것이다. 당선자는 그 구체적 방법부터 찾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