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9일 새벽 장거리 로켓 발사 연기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발사 시기가 당초 예고됐던 10~22일을 넘길 공산이 커졌지만 여전히 군과 정부는 상황을 주시하며 신중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북한의 의중이 명확지 않은 만큼 아직 경계를 풀기에는 이르다는 판단에서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북한의 발표 내용에 시기 조정을 검토키로 한 구체적 이유 등이 빠져 있어 정보 분석을 통해 발표의 배경과 의도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군은 로켓 발사대 해체가 확인되기 전까지는 강화된 군사대비 태세를 유지하면서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로켓 발사 징후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군 당국은 북한이 예고한 발사 기간 시작일(10일) 전날인 9일부터 애초 예정대로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소장)을 반장으로 하는 초기대응반 가동에 들어갔다. 대북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도 상향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북한의 로켓 궤적을 추적할 이지스 구축함 2척을 서해 상에 대기시킨 데 이어 나머지 이지스함 1척도 이미 남해 작전 지역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이지스함에는 반경 1,000㎞ 이내의 모든 비행체를 식별할 수 있는 첨단 레이더 SPY-1D가 장착돼 있다. 지난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당시 로켓 궤적을 발사 54초 만에 탐지한 세종대왕함을 비롯해 율곡이이함, 서애류성룡함은 1단 추진체 낙하 예상 지점(전북 부안군 격포항 서쪽 약 140㎞)과 페어링(위성보호덮개) 낙하 지점(제주 서쪽 약 88㎞) 인근 해역, 제주 남방 해상에서 각각 로켓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추진체 등의 낙하 지점을 포착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로켓 연료 주입 시작과 함께 공군 조기경보통제기(피스 아이) 2대도 출격할 채비를 갖춘 상태다.
외교 당국도 일단 상황 추이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지금까지 해온 대로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관계국과 긴밀한 협의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북한이 로켓 발사 계획을 철회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권경성기자 ficciones@hk.co.kr
사정원기자 sjw@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