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통령 선거가 내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에 들어간다. 불투명했던 대결 구도가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사퇴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당 후보의 양자대결로 압축된 만큼 치열한 득표 경쟁이 예상된다. 현재 박ㆍ문 후보는 호각지세다. 안 후보의 사퇴가 반영된 지난 주말의 여러 여론조사에서 두 후보의 지지도는 오차 범위 안에서 엎치락뒤치락했다. 안 후보가 문 후보의 손을 들어주는 대신 사퇴함으로써 '단일화 효과'의 극대화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앞서 단일화를 전제로 한 가상 양자대결 결과와 비슷한 팽팽한 접전을 보였다는 점에서 결과적 단일화도 효과는 나타난 셈이다. 다만 한동안 10% 내외로 줄어들었던 부동층이 20% 가까이로 늘어나 앞으로 이들의 마음을 잡고, 투표소로 이끌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예고했다. 그럴수록 깨끗하고 당당한 득표경쟁이 필요하다.
본격적 선거운동에 들어갈 두 후보가 서둘러야 할 첫 과제는 지금까지 밝혀온 정책과 공약을 정리해 최종안을 확정ㆍ발표하는 일이다. 분야별 '과잉 의욕'과는 달리 총정리는 우선 순위나 의욕의 비교강도를 분명히 해야 한다. 정치개혁, 경제 살리기 혹은 경제민주화, 일자리 확보, 복지, 대북ㆍ외교ㆍ안보 정책 등이 논리적 일관성과 조화를 띠고, 그 실현에 필요한 재원조달 방안과 입법 대책까지 붙어있기를 기대한다. 그래야 유권자가 후보의 정책ㆍ공약을 자신의 삶의 전망에 비추어 평가할 수 있다.
두 번째 과제는 이렇게 정리된 정책ㆍ공약을 바탕으로 활발한 토론을 벌이는 것이다. 유권자들은 TV토론을 기다려왔다. 미국 대통령 선거의 열띤 TV토론 장면을 지켜본 경험까지 더해져 한결 간절해졌다. 군소 후보들이 적지 않아 공식 TV토론만으로는 유권자들이 비교우위를 확인하기 위한 '맞대결' 기대를 채울 수 없는 만큼 언론기관과 사회단체의 양자토론 노력과 두 후보의 적극적 호응이 중요하다.
세 번째 과제로는 토론과정에서는 물론이고 선거운동 전반에서 인신공격을 비롯한 흠집내기를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다. 벌써부터 이번 대선이 '박정희와 노무현의 대결'이 될 것이라는 등의 진단이 무성하다. 두 후보의 정치적 성장 배경이나 개인적 인연에 비추어 완전히 피해갈 수야 없겠지만, 이번 대선은 과거의 공과가 아니라 미래의 성패를 다투는 것임을 거듭 환기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국회를 통째로 득표 경쟁에 끌어들이지 말아야 한다. 국회가 선심성 예산 편성과 관련 입법을 자제하도록 두 후보 모두 지도력을 발휘하길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