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지평선] 추사의 명호(名號)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지평선] 추사의 명호(名號)

입력
2012.11.18 11:28
0 0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동갑내기 초의선사(草衣禪師)를 30세에 만나 평생지기로 깊은 교유를 나눴다. 찾아가 만나기도 했고 수많은 서찰을 통해 우정을 주고 받았다. 1835년(헌종 1년) 추사가 초의에게 보낸 편지 말미는 이렇게 돼 있다. 乙未臘五夜 居士書 水仙盛開 淸香汎硯沁紙(을미납오야 거사서 수선성개 청향범연심지).'을미년(1835년) 섣달(12월) 5일 밤 거사가 씁니다. 수선화 만발해 맑고 깨끗한 향이 벼루에 떠돌고 편지지에 스밉니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수선화를 아끼고 즐겼던 추사의 취향이 담겨있다. 조선 선비들은 한 겨울에 고고하게 피는 수선화를 사랑했다. 사신들의 연행(燕行) 길에서나 몇 뿌리씩 들여왔던 귀한 화초이기도 했다. 훗날 제주 대정 땅에 유배 간 추사는 귀한 수선화가 지천에 깔린 것을 보고 깜짝 놀란다. 거사(居士)라는 명호는 불교에 심취한 그의 면모를 엿보게 한다. 추사만의 독특한 작품처리 형식인 말미구(末尾句)는 다각도로 추사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들을 제공한다.

■추사가 작품 말미에 적은 명호(名號)와 말미구를 통해 새롭게 추사에게 다가간 방대한 연구서가 나왔다. 최준호(55) 도립전라남도 옥과미술관장의 역작 (아미재)라는 책이다. 최 관장이 6년여에 걸쳐 추적 정리한 추사의 명호는 343개에 이른다.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호를 지어 사용했기에 이렇게 숫자가 많다는 게 최 관장의 설명이다. 추사에게 명호는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고 소통하는 수단이었다는 것이다.

■'추사'는 24세 때 부친을 따라 사신 일행으로 청나라에 가면서 새로운 각오를 담아 쓰기 시작한 것이고,'완당'(阮堂)은 중국 스승 완원에 대한 존경을 담은 명호. 삼십육구주인(三十六鷗主人)처럼 갈매기 '구(鷗)'가 들어간 명호가 많은 것은 제주 유배생활 등과 관련이 깊다. 홍대 동양화과를 나와 국립대만사범대 미술대학원서 전각학(篆刻學)석사학위를 받은 최 관장은 추사의 인장 연구가 다음 목표다. 지방에 거주하며 관심 분야를 깊게 파고드는 그의 학문 열정이 돋보인다.

이계성 수석논설위원 wks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