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해양 배출을 규제하는 국제협약인 런던협약에 따라 내년부터 음식물 쓰레기 폐수(이하 음폐수)의 해양 배출이 전면 금지된다. 하지만 부산시는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고 있어 이른바 '음폐수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경혜 부산시의원(보사환경위원회)은 최근 부산시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음폐수를 전면 육상처리해야 하는 시점을 불과 2개월도 남기지 않았음에도 그간 시의 업무 태만으로 당장 큰 혼란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시를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의 음식물 쓰레기 하루 처리 시설용량 은 수영하수처리병합시설 120톤, 민간업체 5곳 941톤 등 총 1,061톤으로 나타났다.
올해 부산의 음식물 쓰레기 일일 평균 발생량은 776톤으로 지난해 하루 발생량(770톤)보다 소폭 증가했다. 음폐수는 전체 음식물 쓰레기 중량의 약 80%를 차지한다.
하지만 이 가운데 민간업체 2곳(음식물 쓰레기 하루 처리 시설용량 281톤)은 음폐수 육상 처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당장 내년 1월부터 이용 가능한 시설용량은 780톤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시설이 현실적으로 100% 가동이 어려운 만큼 사실상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이 의원은 "하루 발생량 776톤 중 육상처리 가능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이 현실적으로는 68%인 524톤 내외"라며 "나머지 200여톤은 육상처리가 불투명한 상태인데도 시는 기본적인 실태 파악조차 하지 않은 채 '민간 업체 위탁'이나 '경남 등 타 지자체 유입' 운운하며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 의원은 또 "음폐수가 안정적으로 처리되지 못할 경우 발생되는 엄청난 혼란을 막기 위해 사전에 문제점을 제대로 인식하고 건조처리시스템 도입 등 근본적인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각 업체에서 어떻게 음폐수를 처리할지 예상 시나리오를 정확하게 파악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강성명기자 smk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