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가 야권 후보 단일화 문제에서 수시로 사용하는 키워드는 '정당'이다. 그는 단일화 논의 출발점부터 줄곧 "후보 단일화는 정당 기반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정당책임정치를 역설해 왔다. 문 후보 측이 제기한'무소속 대통령 불가론'도 정당책임정치의 연장이다. 최근 '국회의원 정수 축소'를 골자로 한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정치 혁신안을 "정치 축소"라고 정면 비판한 것도 '정당'에 대한 강조가 깔려 있다. 문 후보가 내세우는 정치 혁신안의 핵심도 '정당정치의 복원 및 강화'이다.
기존 정당정치에 대한 불신으로 안 후보가 등장했지만, 유권자들이 국정 운영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결국 무소속 후보보다는 정당 후보를 택할 것이란 기대가 깔린 것이다.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10년을 운영한 국정 경험을 강조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그러나 기존 정당 행태에 대한 반성이 부족하거나 정당 혁신에 소극적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것이 약점이다.
단일화 문제에서 문 후보가 안 후보 측에 줄곧 선제 제안을 하는 등 '인파이터' 모습을 보인 것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문 후보가 '공동정부론'을 제안한 게 이미 지난 5월이었다. 대선전이 본격화한 후 경제민주화 책임자 회의, 단일화 TV 토론 등 각종 제안을 잇따라 던졌고 최근에는 단일화 협상도 먼저 제의했다. '구애'에 가까웠던 이런 제안이 갈수록 공세적으로 변하는 것도 눈길을 끈다. 이는 문 후보가 주도권을 쥐고 안 후보를 자신의 프레임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시도로 분석된다.
문 후보가 구사하는 어법도 공개적인 '돌직구' 화법이다. 안 후보가 단일화를 일절 언급하지 않던 상황에서도 문 후보는 직설적으로 "후보 단일화는 반드시 될 것"이라고 강조해 왔다. 여기엔 단일화 방식을 둘러싼 신경전이 작용하는 측면도 있다.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 모바일 경선, 패널 조사, 현장 경선 등을 혼합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이를 위해선 최대한 빨리 안 후보를 무대로 끌어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인영 공동 선대위원장은 1일 "모바일 경선이 사람들의 참여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변화의 에너지를 폭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론조사보다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단일화 승리를 자신하는 것도 문 후보의 특징이다. 문 후보가 각종 연설에서 즐겨 사용한 문구가 "출마를 결심한 뒤부터 단 한 순간도 패배를 생각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이는 안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컸던 상황에서 안 후보로 쏠리는 당내 의원들과 지지층의 이반을 막기 위해 승리에 대한 자신감을 강조한 것이란 분석이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