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창당 DJP식 공동정부, 정책연합 등 거론
안철수 후보발 정계개편 시나리오도
18대 대선 후보 등록일(11월 25~26일)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 측은 야권 후보 단일화를 놓고 치열하게 주도권 경쟁을 하는 한편 단일화를 위한 협력 틀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두 후보 진영 일부에서는 단일화 시한이 1개월 가량밖에 남지 않았다고 보고 ▦대선 후 통합신당 창당 ▦공동정부 구성 ▦정책연합 등의 정치적 협력 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어서 향후 논의 결과가 주목된다.
우선 민주통합당 주변에서는 지난해 민주통합당이 출범한 방식과 유사한 ‘대통합 신당창당 시나리오’가 유력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문 후보가 지난달 당직자 워크숍에서 “단일화를 넘어 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부상한 이 방안은 신기남 상임고문이 최근 민주당과 안철수 세력, 진보정의당까지 아우르는 ‘빅텐트론’을 언급하면서 더욱 구체화했다. 지난해 친노그룹 및 시민사회 세력이 ‘혁신과통합’을 구성한 뒤 민주당과 함께 민주통합당 창당에 성공했던 방식을 차용하자는 주장이다.
연일 정당 혁신을 강조하는 안 후보의 민주당 입당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통합신당 시나리오는 더욱 힘을 받고 있다. 다만 양 측이 신당을 염두에 둔 단일화에 합의하더라도 대선 전까지 창당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선 후 창당 방안이 현실성 있는 방안이란 주장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이낙연 공동선대위원장도 24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선 이전에 신당을 만드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물론 안 후보 측은 “신당 창당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캠프 주변에서 “무소속 대통령으로는 국정 운영이 불가능하다”는 반론이 커지면서 ‘대선 후 대통합 신당 창당설’이 나오고 있다. 안 후보 측 일각에서는 대선 후에 안 후보가 주도하는 신당 창당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단일화를 둘러싼 양측의 감정 싸움이 고조되면서 1997년 대선 당시의 ‘김대중-김종필(DJP) 연대’를 염두에 둔 연대 시나리오도 부상하고 있다. 통합 수준의 높은 연대가 불가능하다면 역할 분담을 전제로 ‘공동정부’ 구성을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DJP연대 당시 국민회의가 자민련이 통합하지 않고 공동여당 역할을 했던 것처럼 민주당과 안 후보 세력이 하나의 정당으로 통합하지 않는 방식이다. 문 후보의 ‘공동정부론’은 이런 시나리오를 염두에 둔 구상이라는 분석이 있다. 정책연합 수준의 느슨한 연대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4ㆍ11총선 당시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이 후보 단일화와 함께 합의한 연대 방식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당 정치에 비판적인 안 후보가 신당 창당에 동의할지 불투명하고 공동정부론도 정당 간 연합을 전제로 하고 있어 쉽지 않다”며 “물론 단일화 성사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협력 틀이 추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정곤기자 jkkim@hk.co.kr
최문선기자 moon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